네트워크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 7장 라우터만 알면 네트워크 도사?

전거가감 2015. 1. 16. 16:19
반응형

A. 라우터

 -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

 -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눠주기 위해서 사용됨.

 - 한마디로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라고 말할 수 있다 : 

 - 자신이 강야 할 길을 자동으로 찾아서 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길을 스스로 찾아 안내 해 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B. 라우터는 두가지 일을 한다.

1. Path Determination(경로배정) :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길로 가는 것이 가장 적절한지를 결정한다.

2. Switching(스위칭) : 경로가 결정되면 그 쪽으로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해준다.(여기서 스위칭은 스위치가 해주는 일과는 다르다)


C. 가장 좋을 경로를 찾는데 라우팅 알고리즘, 즉 라우팅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라우팅 알고리즘은 가장 좋은 경로를 찾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이란 것을 만들어 관리한다.


D. 라우터 종류

- 단독형 : 일체형으로 이미 구성이 되어 있는 라우터 

- 모듈형 : 자기가 필요한 모듈을 하나하나 꽂아서 쓸수 있는 라우터

라우터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를 IOS(Internetwork Operation System)라고 한다.


E. 인터페이스 : 라우터에 나와있는 접속 가능한 포트.

Ethernet : 내부 네트워크와 접속시에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즉 내부의 허브나 스위치 등과의 연결을 위한 포트

시리얼(Serial) : WAN과의 접속을 위한 것, DSU(Digital Service Unit OR Data Service Unit)와의 접속을 위한 것.

Serial 포트 : 외부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위해서 사용하는 포트


F. 라우티드 프로토콜(Routed Protocol)

- 라우팅을 당하는, 즉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고객을 뜻한다. 

- 즉 라우터라는 자동차를 타고 여행을 떠는 승객을 뜻한다.

- ex)TCP/IP, IPX, AppleTalk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 자동차를 안전하고 빠르게 운전하는 운전기사

- 라우티드 프로토콜들에게 목적지까지 가장 좋은 길을 갈 수 있게 해주는 역활

- 따라서 어떤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라우터의 성능이 결정된다.


G. 라우팅 테이블

- 운전기사(라우팅 프로토콜)가 가지고 있으면서 어떤 길이 가장 좋은 길인가 메모해 두는 이정표 같은 것

- 목적지, 목적지까지의 거리, 어떻게 가야 하는가 등의 내용이 들어간다.

- 라우터가 어떤 경로를 찾을 때 사용하는 것. 사용하는 라우터의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지고 라우터는 항상 최적의 경로를 찾아 라우팅 테이블에 유지

- 라우터의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모두 지워지게 된고, 다시 켜지면 수초 또는 수분 만에 다시 만들어진다.

- 라우팅 테이블 보기는 명령 : show ip route


H.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의 구분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 

- 한 번 정해놓으면 죽어도 정해진 그대로 수행하는 프로토콜.

- 사람이 일일이 경로를 입력.

- 장점1 : 라우터 자체에는 부담이 들지 않아 라우팅하는 속도도 빨라지고 라우터의 성능이 좋아지고 메모리도 적게 사용됨.

- 장점2 : 라우터들끼리 라우터 테이블을 교환할 필요가 없고,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절약 할 수 있고, 보안에도 강하다.

- 단점1 : 사람이 일일이 넣어줘야되서, 귀찮다.

- 단점2 : 입력해준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사람이 다시 경로를 고쳐줄 때까지 계속 문제가 되는 데이터를 보내려고 합니다.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 : 상황에 따라서 그때그때 변화가 가능한 프로토콜.

- 평소에는 비행기로, 그리고 비행기가 문제가 있으면 기차로, 기차가 문제가 있으면 자동차로 이렇게 자동으로 판단하고 그때그때 가장 좋은 길을 찾아가는 방식

- 장점 : 사람이 일일이 경로 입력을 해줄 필요가 없다. 라우터가 알아서 가장 좋은 길을 찾아 가도록 되어있다.

- 단점 : 라우터에 부담을 준다.(어떤 길이 가장 빠른 길인지 계산, 시간이 지날 때마다 바뀐 정보는 없는지 계속 확인, 라우팅 테이블도 계속 업데이트 해야됨)

ex) RIP, IGRP, OSPF, EIGRP등이 속한다.


I. AS : Autonomous System

- 의미1 :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라우터의 집단.

- 의미2 : 하나의 관리 규정 아래서 운용되는 라우터의 집단.

- 의미3 : 하나의 관리 전ㅇ략으로 구성된 라우터 집단.

- AS안에 있는 라우터들은 자신의 AS에 속해있는 라우터에 대한 정보만 알고 있으면 된다.

- AS밖으로 나갈 때는 AS에 있는 문지기라우터(ASBR,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에게 정보를 물어봐서 밖으로 나간다.

- 문지기라우터는 자신의 AS와 인전해 있는 다른 AS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서 자기 AS에서 밖으로 나가는 라우터나 외부 AS에서 자기 AS쪽으로 들어오는 라우터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역활을 한다.


J. 외부AS 연결 프로토콜

- Interior Routing Protocol

- AS안에서만 사용되는 프로토콜

- EGP, BGP

   내부AS 연결 프로토콜

- Exterior Routing Protocols

- AS와 AS를 연결할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 RIP, IGRP, OSPF, EIGRP


K. 라우터 구성하는 방법

1. 콘솔 케이블을 통한 구성

2. 원격지에서 모뎀을 이용한 구성

3. 라우터에 IP주소가 세팅된 다음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하는 텔넷을 이용한 구성

4.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는 NMS를 이용한 구성

5. 미리 구성된 파일을 저장했다가 나중에 라우터로 다운로드하는 TFTP 서버를 이용한 구성


L. 라우터의 중요한 몇 가지 모드

라우터에 접속시 모드가 몇가지 있다.

1. 유저 모드

- 프롬프트가 "Router>"로 표시되는 모드

- 주로 테스트 즉 현재 상태를 볼 수 있다.

- Ping, Trace 등을 해볼 수 있다. 하지만 구성파일을 본다거나 구성 자체를 변경 할 수는 없다.

2. 프리빌리지드(Privileged) 모드

- 운용자 모드

- 유저모드에서 "enable"이라는 명령을 사용해서 운용자모드로 접속할 수 있다. 

- 프롬프트가 꺽쇠(>)에서 샵(#)으로 표시된다.

- 모든 라우트의 명령이 가능하다. 구성을 볼 수도 있고 변경 할 수도 있다.

- "disable"이라고 치면 다시 유저모드로 빠진다.

3. 구성 모드

-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모드

- 유저모드에서 "config terminal"이라고 치면, 구성 모드로 들어가는 명령이다.

- Router# => Router(config)# 으로 모드가 변경된다.

4. 셋업 모드

- 라우터를 처음 구매해서 파워를 켰거나 라우터에 구성 파일이 없는 경우 라우터가 부팅하면서 자동으로 들어가는 모드. 

- 라우터가 질문하면 유저가 대답하면서 구성파일을 만들수 있도록 되어있다.

5. RXBOOT 모드 : 

- 평소에는 사용할 일이 없는 모드

- 라우터 문제 발생시 복구용으로 만들어 놓은 모드(ROMMON 모드라고 부르기도함.)

6. 등..


간단한 단축키

exit는 단계별로 빠져나오고,  Ctrl + z는 한번에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빠져 나올 수 있다.


M. 라우터의 하드웨어 구성

1. Interface : 네트워크와 라우터에서 직접 연결되는 부분, 허브나 스위치랑 연결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또는 DSU나 CSU와 연결되는 Serial 인터페이스가 바로 그 것.

2. RAM : 라우터를 운용하는 운용 시스템이 올라가게 되는데, 램은 파워가 꺼지면 모두 지워진다. 운용 체제도 파워가 켜진 다음에 RAM위로 올라오게 된다.

RAM에 올라가는 것들 중에서 운용체제와 라우팅 테이블 이외에 또 중요한 것 한가지는 바로 구성파일이다.

3. NVRAM(Non Volatile RAM) : 비휘발성 메모리,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정보가 날아가지 않는 램. 구성파일이 저장된다.

4. Flash 메모리 : 운용체제인 IOS(Internetwork Operation System)는 플래시 메모리란 곳에 저장된다.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곳이고, NVRAM에 비해서 용량이 크고, NVRAM은 구성파일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반면 플래스메모리는 주로 IOS 이미지 파일 저장용으로 사용된다.

5. ROM : 라우터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들, 파워가 켜지면 어떤 순서로 라우터 스스로의 상태를 점검하고 또 어디서 운용체제(IOS)를 가져다가 메모리에 올릴것인지 등을 적어 놓는다.


N. 라우터의 정보 확인

1. show version : 라우터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이라든지 아니면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의 종류, 그리고 IOS가 어디서 부팅했는지 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볼 수 있는 명령

2. show interface : 현재 라우터가 가지고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가 다 보여지고, 해당 인터페이스의 현재 상황까지도 상세하게 알 수 있는 명령

구성파일은 두가지가 있는데, 메모리에 돌아가는 실질적인 구성파일과 NVRAM에 저장되어 있는 백업 구성파일이 있다.

3. show flash : 플래시 메모리를 보는 명령. IOS의 이미지 정보를 보거나, 플래스 메모리에 있는 이미지를 백업 박거나 업그레이드하고 싶을때 먼저 하는 명령어

4. show processes cpu : 현재 라우터의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5분, 1분, 5초 동안의 CPU로드가 퍼센트로 나타나기 때문에 라우터가 얼마나 일을 하고 있는 지를 알 수 있는 명령


O. 라우터의 셋업 모드(구성파일이 없을때 자동으로 들어가는 모드)

1. 유저모드에서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접속한다. 그리고 "setup"이라고 입력한다.

2. Dialog로그 보겠냐고 물어보는데 바로 엔터를 치거나 yes를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 (no라고 치거나 Ctrl + c 입력시 셋업모드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3. currnt interface summay? : 현재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보겠냐고 물어본다. 디폴트는 yes이다.

4. Enter host name [Router] : 라우터의 이름을 뭐로 할지를 물어본다

5. Enter enable password : 암호를 입력하는 곳이다.

암호는 두가지로 구분이 되는데 enable secret과 enable password이다.

enable secret :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들어갈때 물어보는 암호

enable password : 구성파일에서 enable secret를 확인할 때 물어보는 암호

라우터는 enable secret과 enable password가 같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항상 enable secret 값만을 확인한다. 그리고 enable secret과 enable password는 같은 암호를 사용할 수 없다.

6. Enter virtual terminal password : 버추얼 터미널 패스워드는 우리가 텔넷을 통해 들어갈 때 물어보는 패스워드이다.

7. SNMP 세팅을 물어보는데 여기서 SNMP 세팅이란 NMS, 즉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상관있는 것입니다. NMS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따로 세팅할 필요가 없다. 디폴트는 NO이다.

8. Configure IP? IP세팅을 할꺼냐고 물어봐서.. yes 선택시 IP라우팅에 사용할 라우팅 프로토콜을 IGRP를 쓸꺼냐고 물어본다.

9. IGRP에 사용할 AS에 대해 물어보고.. 일단 200을 사용한다고 입력한다.

10. 이더넷 인터페이스에 대해 물어보는데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허브나 스위치에 연결될 인터페이스이다. 

11.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대해 물어보는데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외부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전용선과 연결된 포트

P. 라우터 구성모드

- 라우터의 구성 모드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configure라는 명령을 사용한다

- 사람이 직접 터미널를 이요하여 멸령을 하나하나 입력해 주는 모드가 바로 configure terminal이다.

- 유저모드에서는 구성모드로 바로 들어갈 수 없다.

- configure memory란 명령을 사용해서 백업 구성 파일을 현재 구성파일로 덮어버릴수 있다.

- 라우터에서 명령을 치고 엔터를 누르는 순간 바로 동작함으로 신중하게 명령을 해야한다.

- write memory는 현재 RAM에 있는 구성파일(수정중인)을 NVRAM에 있는 구성파일(백업용)으로 저장해 주는 명령이다.

- 뭐든지 내가 한번 입력한 명령을 지우고 싶다면 앞에다 no만 넣어주면된다

ex) network 150.100.0.0 이란 명령을 내렸는데, 잘못됫다고 하면 앞에 no만 입력하고 no network 150.100.0.0 하면 된다.


Q. 스태틱 라우팅을 이용한 라우터 구성

- 스태틱 라우팅 : 운용자가 직접 경로를 입력해 주는 것으로 라우터은 빠르게 라우팅을 할 수 있고, 라우팅 테이블도 적게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설정한 경로에 문제가 생겨도 운용자가 설정한 경로로 계속 보내는 단점이 있다.

- 구성모드에서 스태틱 라우팅을 설정 할수 있다. => Router (config) # 모드

-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의 명령 : ip route network [mask] {address | interface} [distance]

- network는 목적지 네트워크 이고, address는 상대편 라우터의 주소를 넣고, interface는 자기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입력한다. distance는 이 라우팅 정보의 가치 입니다. Distance가 높은 값일 수록 가치는 떨어진다. 디폴트는 1이다.

- 문제) 203.210.100.1의 인터페스를 이용하여 목적지 네트워크는 150.150.0.0이고, 목적지 네트워크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이다. 스태틱 명령을 입력해본다.

- 답) ip route 150.150.0.0 255.255.0.0 203.210.100.1

- 여기서 203.210.100.1의 ip address 대신 인터페이스 넘버를 넣어서 만들 수도 있는데, 

- 답) ip route 150.150.0.0 255.255.0.0 serial 0이다.


R. 스태틱 라우팅만 알면 디폴트 라우트는 식은 죽 먹기

- 디폴트 라우트 : 경로를 찾아내지 못한 모든 네트워크들은 모두 이곳으로 가라고 미리 정해 놓은 길이다.

여러가지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서 길을 다 찾아간 다음에 그래도 길을 못 찾은 네트워크가 있다면 무조건 이 곳으로 가라고 말해주는 것이다.

- 디폴트 라우트를 사용하는곳

1. 인터넷을 사용하는 라우터

2. Stub 네트워크에 있는 라우터

- 스태틱 라우팅과 디폴트 라우팅의 차이

스태틱 라우팅 : 그냥 특정 목적지를 가기 위한 구성

디폴트 라우팅 : 특정 목적지를 지정하지 않고 그냥 모든 목적지가 모두 디폴트로 지정한 곳으로 간다는 것

 

S. 디폴트 라우팅 만드는 두가지 방법

1. 디폴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법

2. 스태틱 명령을 이용한 방법


T. 디폴트 라우팅 만들기

1. 디폴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법

- ip default-network 203.240.10.0이라고 입력한다.

- 모든 목적지(즉 갈 곳 없는 모든 패킷들)는 무조건 203.240.10.0 네트워크로 보내라는 의미이다.

- 디폴트 네트워크 구성의 규칙

1. Ip default-network 뒤에 오는 네트워크 주소는 항상 클래스를 맞춰 주어야 한다.

2. RIP에서 디폴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경우 Ip default-network 뒤에 오는 네트워크 주소는 반드시 RIP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즉 RIP 프로토콜이 돌고 있는 네트워크여야 한다.

- 규칙을 지켜야 함으로 디폴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성하지말고, 스태틱 명령을 이용한 방법이 쉽다.


2. 스태틱 명령을 이용한 방법

- ip route 0.0.0.0 0.0.0.0 203.240.10.1

- 여기서 0.0.0.0 0.0.0.0은 디폴트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 라우팅 테이블에서 길을 찾지 못하는 모든 퍀킷은 모두 203.240.10.1 쪽으로 보내라는 의미이다.

- ip route 0.0.0.0 0.0.0.0 Serial0으로도 사용가능


U. 라우트 구성해보기

1. 라우터 이름은 Router_A를 사용

- hostname Router_A

2. Enable password는 'cisco'를 사용

- enable password cisco

3.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210.240.10.1 255.255.255.0 네트워크를 사용합니다.

- ip address 210.240.10.1 255.255.255.0

4.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두 개를 가지고 있는데 

인터넷 라우터 B로는 '시리얼 2/0 인터페이스' (203.210.100.1 255.255.255.0)를 사용했고

- interface Serial2/0

- ip address 203.210.100.0 255.255.255.0

라우터 C로는 '시리얼 2/1' (203.210.200.1 255.255.255.0)를 사용해서 연결

- interface Serial2/1

- ip address 203.210.200.0 255.255.255.0 

5. 스태틱 라우팅을 사용하여 150.100.0.0(255.255.0.0) 네트워크를 접속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ip route 150.150.0.0 255.255.0.0 203.210.200.2

6. 스태틱 라우팅만을 사용나머지 모든 트래픽은 디폴트로 인터넷쪽으로 나갈 수 있도록 구성해야합니다.

- ip route 0.0.0.0 0.0.0.0 203.210.100.2


V. 라우터의 구성 명령 정리



     ┌──────┐                                configure terminal       ┌──────┐

     │            │-------------------------------------------------------▷│            │

     │ 콘솔 터미널│◁-------------------------------------------------------│            │

     │            │                                show running-config      │            │

     └──────┘◁-----------------------┐                              │            │

                        show startup-config   │                              │            │

                                              │                              │            │

                                              │                              │            │

                                              │            configure memory  │            │

┌────┐       erase starup-config     ┌────┐---------------------▷│            │

│ 휴지통 │◁-----------------------------│ NVRAM  │                       │    RAM     │

└────┘                               └────┘◁---------------------│            │

                                              △          copy running-config │            │

                                              │              startup-config  │            │

                                  copy tffp   │                              │            │

                               startup-config │                              │            │

     ┌──────┐                         │                              │            │

     │            │-------------------------┘   copy tftp running-config   │            │

     │ 콘솔 터미널│-------------------------------------------------------▷│            │

     │            │◁-------------------------------------------------------│            │

     └──────┘                              copy running-config tftp   │            │

                                                                              └──────┘


W. 디스턴스 벡터와 링크 스테이트

- 라우팅 테이블을 어떤 식으로 관리하는가에 따른 분류

1. 디스턴스 벡터 : Distance Vector

- 거리와 방향만을 위주로 만들어린 라우팅 알고리즘

- 목적지까지의 거리(홉 카운트 등)와 그 목적지 까지 가려면 어떤 인접 라우터를 거쳐서 가야하는(방향)만을 저장한다.

- 장점 : 한 라우터가 모든 라우팅 정보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라우팅 테이블을 줄일 수 있어 메모리 절약이됨. 라우팅의 구성자체가 간단하며, 여러 곳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 단점 : 라우팅 테이블에 아무런 변화가 없더라도 정해진 시간마다 한 번씩 꼭 라우팅 테이블의 업데이트가 일어나 트래픽을 낭비하고, 라우팅 테이블에 변화가 생길 경우 이 변화를 모든 라우터가 알때 까지 걸리는 시간(Convergence time)이 너무 오래 걸린다.

이렇게 느린 업데이트 때문에 RIP의 경우는 최대 홉 카운트가 15를 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즉 라우터 15개를 넘어서 있는 네트워크는 인식을 못한다.

- 종류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2. 링크 스테이트 : Link State

- 한 라우터가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 정보르르 다 알고 있다.

- 장점 : 링크 변동에 따른 인식이 빠르고 라우팅 테이블의 교환 주기가 길며 교환시에도 링크 변동이 일어난 라우팅 테이블만을 교환하기 때문에 트래픽이 적다. 대형 네트워크에 적합

- 단점 : 라우터가 모든 라우팅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메모리의 소모가 많고 SPF 계산 등 여러가지 계산을 해야 하기 때문에 라우터의 CPU가 일을 많이 한다.


X. 시스코 라우터의 친구찾기 CDP

- Cisco Discovery Protocol

- 시스코 라우터와 스위치에서 직접 연결된 시스코 장비를 찾아내는 기능

- 한 다리 건너서 있는 시스코 장비는 찾을 수 없다.

- 상대 장비의 IP주소나 기타 정보를 모를 때 또는 어떤 포트로 접속되었는지 알고 싶을 때 사용하면 편리하다

- 멀티캐스트를 이용해서 시스코 장비들을 찾아낸다

- show cdp 혹인 show cdp neighbors를 이용하여 확인 가능

- show cdp traffic : CDP 트래픽이 어떻게 흐르고 있는 가를 보여주는 명령

- 내 시스코의 라우터에 CDP를 Disable를 할 수 있는데, 

1) 라우터 전체를 Disable하는 방법 : no cdp run

2) 특정 인터페이스로 가는 CDP만을 막는 방법이 있다. : int serial 0을 입력하여 인터페이스 접속하고 no dep enable 하면된다.

다시 설정하고 싶다면 1, 2번 앞에 있는 no를 빼고 명령을 하면된다.


Y. 텔넷을 이용한 장비 접속

- 시스코 장비에서 상대편으로 텔넷을 하려면 VTY 패스워드를 알고 있어야 한다.

- 접속하려는 장비에 VTY패스워드 설정이 되어있지 않고, 다른장비가 텔넷으로 접속시,

  자동으로 커넷션을 끊으면서 "password required, but none set"를 출력하는데, 내용은 패스워드가 세팅되어 있지 않다는 메시지이다. 

- 텔넷을 이용하여 장비에 접속해서 작업을 하다가 잠깐 나오고 싶으면 : ctrl+^ x를 입력한다.

- show session 명령은 텔넷을 이용하여 연결되었다가 잠깐 나온 세션을 확인가능하다.

list형태로 출력되는데 최근에 사용했던 host 앞에 "*" 가 표시되고 엔터를 누르면 바로 접속가능하다.

여러개중 특정 host로 가고 싶다면 host앞에 있는 커넷션번호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바로 접속한다.


Z. ping & Trace

- Ping

1) 단순형 ping : ping 172.70.100.1를 입력하면 되고, 결과에 "!"가 5개가 나오면 정상이다. 결과에 "."가 출력되면 비정상이다. ping의 타임아웃 값은 디폴트 2초이고 조정이 가능하다.

2) 확장형 ping

- 단순형 ping은 목적지 주소는 바꾸어 줄 수 있지만 출발지 주소는 항상 라우터를 떠나는 인터페이스가 된다. 확장형 ping은 출발지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 ping을 입력하면, 라우터가 질문을 하는데 그 질문에 하나씩 입력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trace

- 출발지에서 목적지뿐 아니라 중간에 거친 경로에 대한 정보와 소요 시간까지도 확인해 볼 수 있는 기능

- trace 172.70.100.1 이렇게 입력하면 

1 203.210.200.1   4 mesec  4msec  4msec

2 203.210.100.2  12 mesec  *  4msec

1, 2 순서로 진행이 된것.

Trace 명령은 TTL(Time to Live) 이란 것을 사용하는데, 라우터 하나를 거칠때 마다 1씩 감소해서 0이 되면 패킷을 버리면서 에러가 발생하도록 한 값이다.

처음에 TTL 1로 패킷을 보낸다. 그럼 라우터를 넘어가면서 TTL은 0이되고 바로 에러 메시지가 발생해서 돌아오고 그것이 1 203.210.200.1   4 mesec  4msec  4msec이다.

그다음에 TTL 2로 패킷을 보낸다. 그럼 라우터를 넘어가서 TTL은 1이되고, 다음 라우터를 넘어서 TTL은 0이되고 에러가 발생해서 2 203.210.100.2  12 mesec  *  4msec라는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요약 : TTL이란 값을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돌아오는 에러 메시지를 가지고 경로를 확인해 주는 기능

part7_라우터만 알면 네트워크 도사.tx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