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Jeus

Jeus, Web Server 안내서 - 1) JEUS Web Server의 개요

전거가감 2015. 9. 18. 16:57
반응형

JEUS Web Server의 개요

기존의 웹 서버들은 사용자의 Request가 들어오면,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을 맺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증가하는 경우, 결국 Server Process가 그 수만큼 동시에 늘어나야 Service를 할 수 있었다.

초창기 웹 서버인 Httpd의 구조를 그대로 계상하는 덕에 Apach는 가장 일반적인 Process per Request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새로운 상용 웹 서버들이 등장하면서, 급속도로 확장하고 있는 Web환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를 채택하였다. 가장 일반적인 것이 Multi-Thread 기술이다. 이는 Process 보다 Overhead가 적은 Thread를 이용하여 Service를 하는 것으로 기존 Process 방식에 비하여 월등히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Thread 기술이 상당히 우수한 기술이지만, 내부에서 자신들 간의 영역다툼으로 인하여 DeadLock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안정성에 있어서 큰 단점이다.

JEUS Web Server에서는 안정성을 위하여 Thread 구조를 배제하고 Process 구조를 채택하였다.

 

디렉토리 구조

- bin : 실행파일들이 위치(wsm, wscfl, wsracd, wsgst, wsboot, wsdown, etc)

- cgi-bin : CGI 파일이 위치

- lib : Library파일이 위치

- usrinc : API의 헤더 파일들이 위치

- config : JEUS Web Server의 환경파일이 위치

- path : 프로세스간의 내부 통신을 위한 Named-pipe가 생성

- docs :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html 파일이 위치

- log : Log파일들이 위치

- svct : Web API의 서비스 테이블들이 위치

- icons : DIRINDEX에서 사용할 아이콘이 위치

- ssl : SSL 관련 파일이 위치

- ap : Application 파일이 위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