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pdladhqjf18&logNo=22033641118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연동전에 오라클서버에서 불러올 데이터를 만든다. 

샘플용 데이터로 src/main/resources 아래에 sampledb.sql 스크립트가있다 


언어별 스크립트가 변경되는거같은데...사용법을 몰라 직접수정..

 

오라클 경우 memory만 지워주고 뒤에 세미콜론';'만 붙여주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아래 스크립트를 복사하여 SQL PLUS, developer, toad등을 사용하여 스크립트 실행한다. 

데이터가 생성 되었으면 프로젝트 바로아래있는 pom.xml에 아래내용을 추가 


안되있는경우 org.apache.commons.dbcp.BasicDataSource 클래스를 찾을 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

 


pom.xml 수정 후 
src/main/webapp/WEB-INF/lib 및에 아래 jar파일 추가
c:\app\lenovo\product\11.2.0\dbhome\jdbc\lib 
ojdbc6 (11버전이하 ojdbc14)

 

src/main/resources/egovframework/spring 및에 context-datasource.xml 에 내용을 수정해준다.

기존 HSQL사용하던 jdbc를 주석처리해주고 

 

 

아래의 오라클 부분의 주석을 제거해준다.


주석을 제거 후 아래 그림처럼 url에 jdbc:oracle:thin:@IP:사용포트:SID 를 입력해주고 

 

username 과 password 에 오라클 계정과 비밀번호를 적어준다.


 


전 버전 같은 경우에는 sql.xml도 버전별로 나눠져있었는데

 요번 버전은 하나뿐이기에 직접수정해줬다. 


sqlmap이 버전별로 나눠져있는분은 src/main/resources/egovframework/sqlmap/example/ 에서

sql-map-config.xml만 수정해주시면되고 


하나뿐인분은 해당 쿼리에 list부분만 아래그림처럼 수정하면된다.

src/main/resources/egovframework/sqlmap/example/sample 아래

 EgovSample_Sample_SQL.xml )



모든 수정이 완료되고 서버를 올린후 정상적인 목록이 뜨면 오라클 연동 끝.

 



반응형
반응형

 

CI(Continuous Integration)

CI의 정의

- 지속적으로 품질관리를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
- 모든 개발을 완료한 후에 품질관리를 적용하는 고전적인 방법을 대체하는 방법으로서 소프트웨어의 질적 향상과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는데 초첨
- 초기 및 자주 통합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피드백 사이클을 짧게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것.

CI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은 경우

- 개발자들이 각자 개발한 소스코드를 SVN에 Commit하면 별도의 품질관리를 거치지 않고, 대부분 개발이 끝난 막바지에 통합을 하고 테스트함
- 잘못된 소스코드가 SVN에 반영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개발 후반에 모두 장애로 발견됨

CI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

- SVN에 Commit된 소스코드를 주기적으로 플링하여 컴파일, 단위테스트, 코드 인스펙션 등의 과정을 수행하며 신규 또는 수정된 소스코드가 결함이 있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증합니다.
- 검증결과는 이메일, RSS등의 피드백 메커니즘을 통해 개발자에게 전도리되고, 이를 통해 조기에 결함을 발견 및 해결 할 수 있습니다.

CI의 구성요소

1. CI Server

- 빌드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서버
- Jenkins, Hudson, CruiseControl.NET, TeamCity

2. SCM(Souce Code Management)

- 소스코드 형상관리 시스템
- 소스코드의 개정과 백업 절차를 자동화하여 오루 수정과정을 도와 줄 수 있는 시스템
- 여러 사람이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각자가 수정한 부분을 팀원 전체가 자동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시스템
- Subversion, Git, Mercurial

3. Build Tool

- 컴파일, 테스트, 정적분석 등을 실시해 동작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생성
- Ant, Maven, MSBuild, Make

4. Test Tool

- 작성된 테스트 코드에 따라 자동으로 테스트를 수행해주는 도구로, 빌드 툴의 스크립트에서 실행
- JUnit, CppUnit, CppTest, MSTest, Selenium(사용자테스트 자동화 기능)

5. Test Coverage Tool

- 테스트 코드가 대상 소스 코드에 대해 어느정도 커버하는지 분석하는 도구
- 개발자가 작성한 테스트코드가 테스트대상 소스코드에 대해서 어느정도 테스트를 수행하는지를 코드라인과 백분율을 통해 리포틍하는 것
- Emma, Cobertura, TestCocoon

6. Inspection Tool

-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소스코드 자체로 품질을 판단할 수 있는 정적분석 도구
- 코딩 표준 준수 검사, 코드 메트릭 측정, 중복코드 검사, 코드 인스팩션 검사 등
- CheckStyle, FindBugs, Cppcheck, Valgrind
- JUnit과 달리 소스코드 자체의 예상되는 잠재적인 결함을 검출하는 도구

CI 자동화 수행 절차

1. 소스코드를 바이너리 파일로 컴파일 한다.
2. 바이너리 파일을 배포 형태로 패키징 한다.
3. 단위테스트(커버리지 포함) 수행한다.(선택)
4. 정적분석을 수행한다(선택)
5. 분석 결과를 리포팅 한다.(선택)
6. 패키징한 파일을 테스트 서버에 배포한다.

CI 효과

* 흔히 발생하는 일반적인 위험을 줄여준다.
* 에러를 초기에 발견할 수 있다.
* 잘 동작하고 에러가 거의 없는 S/W를 유지 할 수 있다.
* 언제 어느 때라도 배포 할 수 있는 S/W를 생성해낸다.
* 반복적인 수작없을 줄여준다.
* 프로젝트 가시성을 좋게 해준다.

Hudson

Hudson 개요

Hudson은 오픈 소스 Ci 서버로 소스 빌드 스크립트를 사용한 자동 빌드 및 빌드결과를 개발자에게 피드백하는 기능을 제공함

Hudson 특징

* 쉬운 Installation : hudson.war형태로 servlet container에 배포
* 웹 기반 UI를 통한 쉬운 설정 및 즉각적인 피드백
* 플러그인 기반의 확장성 제공
* 깔끔하고 잘 정의된 문서 및 API

Hudson 주요특징

* 소프트웨어 자동 빌드 : 빌드 주기에 따른 일일 빌드 또는 주간 빌드 기능 제공
* 지속적이고 자동화된 빌드 검증 : SCM Polling 기능을 통한 최신 코드 기반의 빌드 수행 및 품질 검증
* 빌드 후속 절차 자동화 : 컴파일된 코드의 패키징 및 테스트 리포팅 기능 제공

Hudson Dashboard

Hudson은 빌드 결과 및 테스트 결과 등을 보여주는 대시보드 기능을 제공함

Hudson 프로젝트 메뉴

Hudson은 등록된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 변경 내용 추적을 위한 메뉴와 수동 빌드 그리고 프로젝트 빌드 상태를 보여주는 메뉴 등을 제공하고 있다.

Hudson - JUnit 연동

Hudson은 기본 설정으로 빌드 스크립트를 이용해 생성한 JUnit 테스트 리포트를 브라우저에 출력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테스트의 Progress 누적 그래프를 Hudson 프로젝트의 초기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Hudson - Inspection 도구 연동

Hudson은 코드 인스팩션 도구인 PMD 플러그인을 제공하며 빌드 스크립트를 통해 수행한 PMD 결과 리포트를 PMD 플러그인을 통해 Hudson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반응형
반응형

 


 

 

 

형상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형상관리 계요

소스 버전관리 도구는 시스템 형상 요소(소스 및 데이터)를 문서화하고 변경을 버전관리 절차에 따라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처리 하기 위한 통졔된 환경을 의미합니다.

형상관리 특징 및 기능

* 형상요소에 대한 변경 사항을 관리
* 버전관리를 수행하고, 배포도구를 통해 변경사항을 배포
* 일정주기에 백업도구를 통해 백업을 수행

이름 설명
CVS Revison Control System이라 불린 초기 버전관리 시스템의 기원, 프로젝트 전체를 형상관리할 수 없는 단점등 초창기 버전관리 도구로써 제약 사항을 가지고 있음
Subversion 프리소프트웨어 버전관리 시스템, SVN이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제한이 있던 CVS를 대체함. 현재도 개선/버전 업이 이루어진다.
OpenCM 제한이 있던 CVS를 대체하기위한 안전하고 완전성 높은 형상관리 도구이나, 사용층이 얇고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진행이 정체된 상태

SVN 설명 -1

CVS 대비 SVN의 특장점

* CVS와 거의 동일한 사용법.
* Commit 단위 : CVS는 개별 파일별로 리버전관리, SVN은 변경이 발생하는 파일별로 리버전관리
* Atomic Commit : 여러 파일 Commit시 커밋이 실패할 경우, CVS는 실패한 파일의 앞까지만 커밋이됨. SVN은 전체 파일이 이전상태로 롤백
* 트리별, 파일별 접근 제어 리스트 지원
* 파일에 대한 이름변경/이동, 디렉토리 버전 관리도 지원됨
* CVS에 비해 빠른 동작속도

저장소, Repository

* 프로젝트의 모든 소스들과 소스에 대한 변경 사항이 저장됨
*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람이 접근가능

Revisions(수정, 변경)

* 소스 파일 등을 수정하여 Commit하면 일정한 규칙에 의해 숫자가 증가
* 파일 별로 리비전이 매겨지지 않고 변경발생 단위로 전체 리비전이 매겨짐<br>쉽게말해서, 파일 하나를 수정했더라도 상위의 폴더까지 같이 커밋이 된다는 뜻
* 리비전을 보고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알 수 있음

Check Out

* 저장소에 소스를 받아오는 것
* 저장소 인증 정책에 따라 ID, Password로 사용자를 판단함.

Update

* 저장소에 있는 소스 중 로컬과 비교하여 변경된 항목의 최신 버전의 소스를 가져옴

Commit

* Check Out한 소스를 수정, 파일추가, 삭제 등을 한 뒤 저장소에 저장하여 갱신하는 작업
* Commit을 하면 전체의 Revision이 1 증가

History

* SVN에 관리되는 소스와 관련된 데이터의 과거 모든 리비전 내역을 출력

충돌

* 로컬에 체크아웃 이후 수정한 소스를 저장소에 Commit할때, 저장소의 Revision이 더 높을 경우 충돌 발생(타인에 의해 수정되어 Commit된 상태)

* 충돌 해결 방안

CI(Continuous Integration)

CI의 정의

- 지속적으로 품질관리를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
- 모든 개발을 완료한 후에 품질관리를 적용하는 고전적인 방법을 대체하는 방법으로서 소프트웨어의 질적 향상과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는데 초첨
- 초기 및 자주 통합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피드백 사이클을 짧게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것.

CI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은 경우

- 개발자들이 각자 개발한 소스코드를 SVN에 Commit하면 별도의 품질관리를 거치지 않고, 대부분 개발이 끝난 막바지에 통합을 하고 테스트함
- 잘못된 소스코드가 SVN에 반영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개발 후반에 모두 장애로 발견됨

CI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

- SVN에 Commit된 소스코드를 주기적으로 플링하여 컴파일, 단위테스트, 코드 인스펙션 등의 과정을 수행하며 신규 또는 수정된 소스코드가 결함이 있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증합니다.
- 검증결과는 이메일, RSS등의 피드백 메커니즘을 통해 개발자에게 전도리되고, 이를 통해 조기에 결함을 발견 및 해결 할 수 있습니다.

CI의 구성요소

1. CI Server

- 빌드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서버
- Jenkins, Hudson, CruiseControl.NET, TeamCity

2. SCM(Souce Code Management)

- 소스코드 형상관리 시스템
- 소스코드의 개정과 백업 절차를 자동화하여 오루 수정과정을 도와 줄 수 있는 시스템
- 여러 사람이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각자가 수정한 부분을 팀원 전체가 자동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시스템
- Subversion, Git, Mercurial

3. Build Tool

- 컴파일, 테스트, 정적분석 등을 실시해 동작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생성
- Ant, Maven, MSBuild, Make

4. Test Tool

- 작성된 테스트 코드에 따라 자동으로 테스트를 수행해주는 도구로, 빌드 툴의 스크립트에서 실행
- JUnit, CppUnit, CppTest, MSTest, Selenium(사용자테스트 자동화 기능)

5. Test Coverage Tool

- 테스트 코드가 대상 소스 코드에 대해 어느정도 커버하는지 분석하는 도구
- 개발자가 작성한 테스트코드가 테스트대상 소스코드에 대해서 어느정도 테스트를 수행하는지를 코드라인과 백분율을 통해 리포틍하는 것
- Emma, Cobertura, TestCocoon

6. Inspection Tool

-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소스코드 자체로 품질을 판단할 수 있는 정적분석 도구
- 코딩 표준 준수 검사, 코드 메트릭 측정, 중복코드 검사, 코드 인스팩션 검사 등
- CheckStyle, FindBugs, Cppcheck, Valgrind
- JUnit과 달리 소스코드 자체의 예상되는 잠재적인 결함을 검출하는 도구

CI 자동화 수행 절차

1. 소스코드를 바이너리 파일로 컴파일 한다.
2. 바이너리 파일을 배포 형태로 패키징 한다.
3. 단위테스트(커버리지 포함) 수행한다.(선택)
4. 정적분석을 수행한다(선택)
5. 분석 결과를 리포팅 한다.(선택)
6. 패키징한 파일을 테스트 서버에 배포한다.

CI 효과

* 흔히 발생하는 일반적인 위험을 줄여준다.
* 에러를 초기에 발견할 수 있다.
* 잘 동작하고 에러가 거의 없는 S/W를 유지 할 수 있다.
* 언제 어느 때라도 배포 할 수 있는 S/W를 생성해낸다.
* 반복적인 수작없을 줄여준다.
* 프로젝트 가시성을 좋게 해준다.

Hudson

Hudson 개요

Hudson은 오픈 소스 Ci 서버로 소스 빌드 스크립트를 사용한 자동 빌드 및 빌드결과를 개발자에게 피드백하는 기능을 제공함

Hudson 특징

* 쉬운 Installation : hudson.war형태로 servlet container에 배포
* 웹 기반 UI를 통한 쉬운 설정 및 즉각적인 피드백
* 플러그인 기반의 확장성 제공
* 깔끔하고 잘 정의된 문서 및 API

Hudson 주요특징

* 소프트웨어 자동 빌드 : 빌드 주기에 따른 일일 빌드 또는 주간 빌드 기능 제공
* 지속적이고 자동화된 빌드 검증 : SCM Polling 기능을 통한 최신 코드 기반의 빌드 수행 및 품질 검증
* 빌드 후속 절차 자동화 : 컴파일된 코드의 패키징 및 테스트 리포팅 기능 제공

Hudson Dashboard

Hudson은 빌드 결과 및 테스트 결과 등을 보여주는 대시보드 기능을 제공함

Hudson 프로젝트 메뉴

Hudson은 등록된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 변경 내용 추적을 위한 메뉴와 수동 빌드 그리고 프로젝트 빌드 상태를 보여주는 메뉴 등을 제공하고 있다.

Hudson - JUnit 연동

Hudson은 기본 설정으로 빌드 스크립트를 이용해 생성한 JUnit 테스트 리포트를 브라우저에 출력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테스트의 Progress 누적 그래프를 Hudson 프로젝트의 초기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Hudson - Inspection 도구 연동

Hudson은 코드 인스팩션 도구인 PMD 플러그인을 제공하며 빌드 스크립트를 통해 수행한 PMD 결과 리포트를 PMD 플러그인을 통해 Hudson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반응형
반응형

 


 

테스트 도구

테스트 도구는 Unit Test, Mock, DB Test Framework, MVC Test를 통해 TastCase 작성을 지원하고, Test Automation, Test Coverage, Test Reporting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Testcase

* Unit Test : JUnit을 이용하여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로 특정 메소드를 실행해서 결과가 기대값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형태

* Mock : Mock은 모의 객체를 뜻하며, 테스트대상과 관련이 있는 객체를 흉내내어 Unit Test를 실행하는 형태

* DB Test Framework : 데이터베이스 관련(DAO, DB) 단위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Test Case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방법
* MVC Test : Spirng 3.2부터 제공하는 Mock를 이용하여 MVC server-side 테스트를 하는 방법

Test Automation

개발자가 작성한 다수의 단위테스트(TestCase) 클래스를 자동으로 테스트하고 그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는 기능

Test Coverage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에 대해 테스트 코드가 있는지 그 커버하는 정도를 알려주는 결과를 리포팅하는 것

TestCase Generator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아키텍처 Tier별 테스트케이스 템플릿 생성 및 상황별 테스트케이스에 대한 코드빌럭의 예시를 제공하는 Eclipse IDE 플러그인

TestCase Generator는 트리 뷰(Tree View)형태의 플러그인으로, TestCase Templates 플러그인과 한 세트로 구성되어 동작한다.

* TestCase Generator View: TestCase Templates 플러그인의 템플릿 파일들을 읽은 후, 이를 기반으로 템플릿 생성 기능과 코드블럭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플러그인 단독으로 실행될 수 있으나, TestCase Templates 플러그인의 템플릿 파일의 콘텐트에 따른 트리 뷰를 제공

* TestCase Templates: TestCase Generator 플러그인을 위한 템플릿 전용 플러그인으로 독립수행할 수 없으며, 반드시 TestCase Generator 플러그인과 함께 동작해야 한다. 프로젝트별 상황에 맞춰 템플릿 파일을 수정하여 배포될 수으며, 업데이트 사이트를 통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Bach Job Test Wizard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는 생성된 배치 관련 파일을 활용하여 간단히 테스트 할 수 있는 테스트 마법사

테스트할 소스 코드를 선택하고, 테스트 실행하는 화면입니다.

배치 테스트 마법사를 통해 생성된 테스트 파일은 배치 테스트 마법사가 종료된 이후에도 JUnit을 이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eGov 개인빌드(Maven)

Maven 개요

*의존성관리, 라이브러리 관리, 빌드 생명 주기 및 단계 객체 모델을 갖는 프로젝트 관리 도구
*불필요한 설정을 최소화한다는 개념아래 Ant와 같은 빌드 기능을 제공.

Maven 장점

 * 뛰어난 의존성 관리(의존성 자동 업데이트 및 일괄관리)
 * 모든 프로젝트에 쉽게 적용가능
 * 플러그 인을 통한 확장성
 * 간단한 설정을 통한 배포 관리
 * Java, C++등 다수 지원

Maven 단점

 * repository 관리의 불편함(3rd 파티 라이브러리등 미제공 라이브러리들이 있음)
 * pom.xml 파일 관리(파일 하나에서 관리함으로 길고 장황하게 될 수 있음)
 * 프로젝트에 특화된 복잡한 빌드기능 제약(프로젝트 전체를 빌드함으로, 세부 항목 또는 특화된 빌드환경에 대한 지원이 미약함)

Maven 아키텍처

 * Project Object Model : 프로젝트 객체 모델(POM), 메이블 엔진 내장 + POM.xml파일에서 제공
 * Dependency Management Model : 종속성 관리 모델, 로컬 및 리모트 저장소를 이용
 * Project life cycle and phases : 프로젝트 생명 주기 모듈, 메이븐 엔진을 플러그인을 통해 파일을 다루는 모든 작업을 수행

Maven 디렉터리 구조

정규화된 디렉터리 구조를 제공하며, 모든 소스 파일들은 /src 하위에 위치하며, 빌드 된 output은 /target 하위에 위치함

빌드 Life Cycle

Maven 생명주기 단계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된다.(ex mvn install 명령 실행시 generate-sources, compile, test, install 순서로 실행한다.)

Maven Repository

POM에 dependency 설정으로 빌드 및 배포 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관리하고 로컬 및 원격 저장소에서 선언된 라이브러리들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합니다.

* 1) General Infomation : 프로젝트이름, 설명, 버전 정보 등을 기술
* 2) Organization : 프로젝트 조직 정보, 이름, 홈페이지, URL
* 3) Project Team and Collaborations tools : 형상관리 서버, 이슈 트랙커, 통합 빌드 서버 정보 등
* 4) Build : 인코딩 정보 등 빌드 Lifecycle 환경 설정
* 5) Reporting : 리포트 생성 기능을 설정
* 6) Dependencies :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를 선언하여 Build Path에 포함시킨다.
* 7) Repositories : 라이브러리 저장소 위치 설정
* 8) Distribution Management : 배포 환경 설정
* 9) Profiles : 이식성을 높여주기 위한 빌드 설정
* 10) Properties : 프로젝트 properties를 설정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org.springframework.spring-library</artifactId>  
        <type>libd</type>  
        <version>3.0.5.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junit</groupId>
        <artifactId>com.springsource.org.junit</artifactId>
        <version>4.4.0</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반응형
반응형

 

eGov 구현도구

eGovFrame Menu

1. Start
 * New Core Project : 일반적인 JAVA Project 생성
 * New Web Project : Web 기반 Project 생성
 * New Template Project
2. Analysis
 * New Usecase Diagram
3. Design
 * New ER Diagram
 * New Class Diagram
4. Implementation
 * Add eGovFrame Common Component
 * New SQL MAP Config
 * New SQL MAP
 * Show DBIO Search View
5. Configuration
 * Customize Development Tool
 * Server Connection Management

UML 작성

  • AmaterasUML을 사용
  • UseCase Diagram 기능
  • Class Diagram 기능
  • 클래스별 연결상태

ERD 작성

  • AmaterasERD를 사용
  • 논리모델과 물리모델 작성을 지원
  • ID, VARCHAR2(10)

DBIO 작성

1) SQLMap Editor

 * VO(Value Object) 자동 생성기능을 제공
 * get, set

2) iBatis SQL Map API

 * SQL Map Config Editor : SQL Map 설정 파일을 UI형태로 편집
 * SQL Map Editor : SQL Maps 파일을 UI형태로 편집

Code Generation

* 설계모델을 기반으로 Skeleton 소스코드를 생성하는 기능

1) eGovFrame Java Project

 * New Core Project : 일반적인 JAVA Project 생성
 * New Web Project : Web 기반 Project 생성

2) Common Component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공통컴포넌트 219종의 설치마법사를 제공
1) 설치할 공통 컴포넌트를 선택
2) 테이블 생성 방식 선택 후 Finish
3) DB 구성(DB연결 및 테이블 생성)

3) Batch Job

배치작업 생성도구를 통해 Job, Step 등 일괄 처리를 위한 기능 및 확장기능까지 입력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배치작업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제공

4) eGovFrame Template Project

유형별 템플릿 프로젝트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
1) Simple Homepage
 * 단순 홈페이지 기능 구현시.. 경량화된 실행환경
 * 메인페이지, 사용자관리, 공지사항
 * 게시판관리, 안내 관리 기능
2) Portal Site
 * 포털 사이트 구현 시.. 경량화된 실행환경
* 포털 공지사항, 사용자관리, 권한관리
* 포털 초기화면 관리, 포털 공지사항 관리
* 포털 FAQ관리, 포털 행사참가 관리 기능
3) Enterprise Business
* 내부업무 기능 구현시.. 경량화된 실행환경
* 메인페이지, 업무 사용자 관리, 공지사항
* 게시판, 권환, 메뉴 관리 기능
4) Common All-in-one
* 공통컴퍼넌트 220종의 모든 기능을 제공

5) Debug

 * Local Debug : Eclipse의 기본 Debug Tool
 * Remote Debug : 원격 컴퓨터의 WAS(jboss, JEUS, WebLogic)등 Debug

6) Code Inspection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소스코드를 검사하여 오류 및 위험요인을 식별하여 알려주는 기능

7) Server Connection Management

 * 서버연동정보관리(코드형상관리)
 * SVN Repositories View & Nexus 기능 제공

 

반응형

'Java > 전자정부프레임워크(eGov)'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연동  (0) 2019.02.13
5. egov 구현도구의 CI  (0) 2015.09.16
4. egov 구현도구의 형상관리  (0) 2015.09.16
3. egov 구현도구의 테스트 도구  (0) 2015.09.16
2. egov 구현도구의 개인빌드  (0) 2015.09.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