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일 위치와 기능

기본 설정파일 위치 : /etc/httpd/conf/httpd.conf

그 밖의 추가 애플리케이션 설정 위치 : /etc/httpd/conf.d/ (php.conf, phpmyadmin.conf, ssl.conf 등이 위치하게 된다)

로그 파일 위치 : /etc/httpd/logs -> /var/log/httpd 링크되어 있다.

모듈 위치(64비트) : /etc/httpd/modules -> /usr/lib64/httpd/modules 링크되어 있다.

프로세스의 PID 저장위치 : /etc/httpd/run -> /var/run/httpd 링크되어 있다.

기본 홈페이지 위치 : /var/www/html

CGI 파일들이 실행될 위치 : /var/www/cgi-bin

에러코드별 에러파일 위치 : /var/www/error

이미지아이콘 파일들 위치 : /var/www/icons

BASH

ls -la /etc/httpd 합계 16 drwxr-xr-x 4 root root 4096 2013-07-08 20:30 . drwxr-xr-x. 64 root root 4096 2013-07-08 15:39 .. drwxr-xr-x 2 root root 4096 2013-07-08 23:44 conf drwxr-xr-x 2 root root 4096 2013-07-08 22:56 conf.d lrwxrwxrwx 1 root root 19 2013-07-03 23:59 logs -> ../../var/log/httpd lrwxrwxrwx 1 root root 29 2013-07-03 23:59 modules -> ../../usr/lib64/httpd/modules lrwxrwxrwx 1 root root 19 2013-07-03 23:59 run -> ../../var/run/httpd

BASH

ls -la /var/www 합계 24 drwxr-xr-x 6 root root 4096 2013-07-03 23:59 . drwxr-xr-x. 18 root root 4096 2013-07-03 23:59 .. drwxr-xr-x 2 root root 4096 2013-05-14 07:12 cgi-bin drwxr-xr-x 3 root root 4096 2013-07-03 23:59 error drwxr-xr-x 2 root root 4096 2013-07-05 01:24 html drwxr-xr-x 3 root root 4096 2013-07-04 00:42 icons

프로세스

Apache의 프로세스들은 root 소유의 부모 프로세스 하나와 그 이하의 자식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즉, PID가 2090인 프로세스에 의해 모든 Apache 자식 프로세스들을 fork 시켜서 생성한 것이며 초기에는 8개만 생성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 Apache 자식 프로세스들을 더 생성하기도 하고 줄이기도 한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2090 PID를 가진 프로세스의 역할이다.

BASH

ps -ef | grep httpd root 2090 1 0 08:03 ? 00:00:00 /usr/sbin/httpd nobody 2092 2090 0 08:03 ? 00:00:00 /usr/sbin/httpd nobody 2093 2090 0 08:03 ? 00:00:00 /usr/sbin/httpd nobody 2094 2090 0 08:03 ? 00:00:00 /usr/sbin/httpd nobody 2095 2090 0 08:03 ? 00:00:00 /usr/sbin/httpd nobody 2096 2090 0 08:03 ? 00:00:00 /usr/sbin/httpd nobody 2097 2090 0 08:03 ? 00:00:00 /usr/sbin/httpd nobody 2098 2090 0 08:03 ? 00:00:00 /usr/sbin/httpd nobody 2099 2090 0 08:03 ? 00:00:00 /usr/sbin/httpd root 2106 1544 0 08:04 pts/0 00:00:00 grep httpd

명령어

yum을 이용한 패키지설치를 하였다면 Apache와 관련된 명령어들이 /usr/sbin에 자동으로 설치된다. /usr/sbin은 PATH설정이 되어 있는 곳이다.

BASH

rpm -ql httpd | grep /usr/sbin /usr/sbin/apachectl /usr/sbin/htcacheclean /usr/sbin/httpd /usr/sbin/httpd.event /usr/sbin/httpd.worker /usr/sbin/httxt2dbm /usr/sbin/rotatelogs /usr/sbin/suexec

현재 상태 확인

BASH

service httpd status httpd (pid 2090)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설정파일 검사

BASH

httpd -t Syntax OK

모듈 적재 방식

DSO(Dynamic Shared Object)방식으로 모듈이 컴파일 되었는가 확인. mod_so.c 가 등록되어 잇다면 DSO방식으로 설치된 것이다.

BASH

httpd -l Compiled in modules: core.c prefork.c http_core.c mod_so.c

컴파일 환경

prefork 방식에 64bit APR util 버전등을 알수 있다.

BASH

httpd -V Server version: Apache/2.2.15 (Unix) Server built: May 13 2013 22:11:16 Server's Module Magic Number: 20051115:25 Server loaded: APR 1.3.9, APR-Util 1.3.9 Compiled using: APR 1.3.9, APR-Util 1.3.9 Architecture: 64-bit Server MPM: Prefork threaded: no forked: yes (variable process count) Server compiled with.... -D APACHE_MPM_DIR="server/mpm/prefork" -D APR_HAS_SENDFILE -D APR_HAS_MMAP -D APR_HAVE_IPV6 (IPv4-mapped addresses enabled) -D APR_USE_SYSVSEM_SERIALIZE -D APR_USE_PTHREAD_SERIALIZE -D SINGLE_LISTEN_UNSERIALIZED_ACCEPT -D APR_HAS_OTHER_CHILD -D AP_HAVE_RELIABLE_PIPED_LOGS -D DYNAMIC_MODULE_LIMIT=128 -D HTTPD_ROOT="/etc/httpd" -D SUEXEC_BIN="/usr/sbin/suexec" -D DEFAULT_PIDLOG="run/httpd.pid" -D DEFAULT_SCOREBOARD="logs/apache_runtime_status" -D DEFAULT_LOCKFILE="logs/accept.lock" -D DEFAULT_ERRORLOG="logs/error_log" -D AP_TYPES_CONFIG_FILE="conf/mime.types" -D SERVER_CONFIG_FILE="conf/httpd.conf"

출처: https://webdir.tistory.com/177 [WEBDIR]

반응형

'Linux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FTP 설치해보기  (0) 2017.01.10
CentOS, FTP 정리  (0) 2017.01.10
스트리밍 서버구축(DSS 사용)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DDS 설치)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RED5)  (0) 2015.12.28
반응형

설치과정 참고 : http://comet42.tistory.com/29


1) "yum install vsftpd" 입력

 - "You need to be rroot to perform this command." 가 출력됨

 - root가 아닌 다른 계정에서 명령어 입력시 출력되는 내용으로 "su -" 입력 후 비밀번호 입력

 - http://m.blog.naver.com/blindman83/110149575684


2) 

반응형

'Linux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Apache(아파치) 구조  (0) 2020.09.04
CentOS, FTP 정리  (0) 2017.01.10
스트리밍 서버구축(DSS 사용)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DDS 설치)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RED5)  (0) 2015.12.28
반응형

FTP Server

종류 : 알FTP, CuteFTP, gFTP, ncFTP, vsFTP, proFTP 등이 있다.
        CentOS의 경우 vsFTP가 기본프로그램으로 지원되고 있다.


1. vsFTP
Cris Evans에 의해 개발된 GPL기반의 FTP서버로 매우 안정적이면서 빠른속도와 
강력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2. vsFTP의 특징

홈페이지 : http://vsftpd.beasts.org
           ftp://vsftpd.beasts.org/users/cevans (소스)

   - 가상 유저 설정을 통하여 계정의 쉘 로그인을 방지하여 안전한 서버운영을 지원
   - Standalone 또는  inetd 모드로 효율적인 데몬 관리 지원
   - 효율적인 서버관리를 위한 대역폭 조절 기능 지원 ( 전송량 제한)
   -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통한 보안 강화 지원
   - 가상 호스트 기능 지원으로 아이피마다 독립적인 FTP 운영
   - TCP wrapper 통합으로 IP 접근제어 설정 가능
   - ASCII 모드로 파일이 전송되는 것을 금지하여 DoS 공격 방지
   - 사용자의 계정에 chroot 기능을 지원하여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방지하여 보안 유지

 

3. vsFTP 설치

# yum install vsftpd

# wget -o- ftp://vsftpd.beasts.org/users/cevans/vsftpd*.tat.gz | tar xvfz - -C /tmp/ftptest

# cd /tmp/ftptest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 cp EXAMPLE/INTERNET_SITE/vsftpd.conf  /etc  
  소스컴파일시 이파일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샘플파일을 /etc/ 복사해준다.


  참고]  EXAMPLE/INTERNET_SITE               ==> 익명연결, inetd 모드 운영
         EXAMPLE/INTERNET_SITE_NOINETD       ==> 익명연결, Standalone 모드 운영
         EXAMPLE/VIRTUAL_USERS               ==> 가상 사용자 접속

 


4. vsFTP 서버를  inet 모드로 설정하기

  /etc/xinetd.d/vsftpd 파일을 생성한다. (단, 소스설치시에는 이 파일이 생성된다.)

# cat > /etc/xinetd.d/vsftpd

service ftp
{

 socket_type = stream                tcp 기반이면 stream, udp 기반이면 dgram으로 설정
 wait  = no   no 이면 동시접속 가능, yes 이면 동시접속 불가능
 user  = root   서비스 프로세스의 소유자를 나타냄
 server  = /usr/sbin/vsftpd 서비스 프로세스의 파일 경로
 nice  = 10
 disable  = no   서비스 사용유무(no:사용, yes:불가)
}


* RPM 패키지 설치시에는 server = /usr/local/sbin/vsftpd 의 위치가 /usr/sbin/vsftpd 이므로 설정에 주의한다.

* ftp server 에서 service 할 홈디렉토리를 생성해준다.
# mkdir /var/ftp

* xinetd 데몬을 재시작하여 vsftp 서버를 활성화시킨다.
# /etc/init.d/xinetd restart  
# service xinetd restart

 

5. vsFTP 서버를  Standalone 모드로 설정하기

vsftpd 소스디렉토리의  EXAMPLE/INTERNET_SITE_NOINETD 디렉토리에 있는 vsftpd.conf 파일을 /etc 로 복사한다.
# cp EXAMPLE/INTERNET_SITE_NOINETD/vsftpd.conf  /etc

* vsftpd 데몬을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면 Standalone 모드로 작동한다. (4번의 inetd 모드 disable = no를 yes 값으로 변경해준다.)
# /usr/local/sbin/vsftpd &


6. 방화벽 설정
# vi /etc/sysconfig/iptables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20:21 -j ACCEPT

# service iptables restart

 

7. vsFTP 동작 테스트

# telnet localhost 21
Trying 127.0.0.1........
Connected to localhost.localdomain (127.0.0.1)
Escape character is '^]'.
220 (vsFTPD 2.1.0)

위의 결과가 나오면 정상작동하는것이다.

user ftp
331 Please specify the password
pass fftp@localhost.com
230 Login successful.

user 명령으로 익명계정인 ftp를 입력해준다.
pass 명령으로 접속자의 이메일주소를 입력해준다.
성공적으로 접속이 완료되면 230 응답코드 메시지지를 보여준다'
단, 동작 테스트용으로 텔넷을 이용하여 ftp에 접속하였기 때문에 업/다운로드가 안되는것에 주의한다.


8. vsFTPD 서버의 동작 테스트

# netstat -a | grep ftp
tcp 0 0 *:ftp *.* LISTEN

ftp 서비스가 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는 LISTEN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vsFTPD SERVER]

1. vsFTPD 서버 관련 파일

   - /etc/vsftpd/vsftpd.conf    vsftpd 설정파일        (소스 설치시 /etc/vsftpd.conf)
   - /usr/sbin/vsftpd     vsftpd 실행파일        (소스 설치시 /usr/local/sbin/vsftpd)
   - /etc/pam.d/vsftpd    vsftpd PAM 인증파일        (소스 설치시에는 생성되지 않으므로 파일을 생성해주어야 한다.)
   - /etc/vsftpd.ftpusers   로그인 불가능한 유저 파일    (소스 설치시에는 생성되지 않으므로 파일을 생성해주어야 한다.)
   - /etc/vsftpd.user_list   유저의 로그인 허용여부 결정  (소스 설치시에는 생성되지 않으므로 파일을 생성해주어야 한다.)
   - /etc/xinetd.d/vsftpd   xinetd 서비스 파일


2.  /etc/vsftpd.conf

1) 익명 접속 설정 옵션

   - anonymous_enable = yes         익명로그인허용여부
   - anon_upload_enalbe = no         익명의 사용자 업로드 허용여부
   - anon_mkdir_write_enable = no 쓰기 권한이 있을 시 새로운 디렉토리생성 권한 허용여부
   - deny_email_enable = no         /etc/vsftpd/baned-emails 파일에 존재하는 anonymous@와 같은 형태의 로그인 불허
   - banned_email_file = /etc/vsftpd/baned-emails  로그인을 불허하고자 하는 이메일을 작성해준다.
   - secure_email_list_enable         익명 로그인 유효한 이메일 적용여부 설정 ( 적용시 /etc/vsftpd.email_passwords 파일 참조)
   - email_password_file = /etc/vsftpd.email_passwords 로그인 가능한 이메일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
   - anon_other_write_enable = no       파일 업로드및 디렉토리 생성 권한 설정
   - anon_world_reasable_only = yes anonymous 권한의 읽기전용 파일 다운로드 허용 
   - no_anon_password = no         익명 접속시 password 묻지 않고 로그인 허용 
   - anon_max_rate = 0          다운로드 최대 전송율 지정으로 단위는 bps
   - anon_umask = 077
   - anon_root = 경로          익명 접속시 사용할 홈디렉토리 설정
   - ftp_username = ftp          익명 ftp에 사용될 사용자명 지정으로 기본값은 ftp 이다.
  

2) 실명 로그인 접속 설정 옵션

   - local_enable = no  /etc/passwd 파일에 명시되어 있는 계정사용 (기본값 no로 익명연결로 허용되어 있다.)
   - wirte_enable = no  데이터 업로드 허용
   - local_umask = 022  
   - dirlist_enable = yes LIST 명령의 허용여부 설정
   - dirmessage_enable = no 사용자가 새로운 디렉토리로 이동하였을 경우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메세지 파일을 보여준다.(파일명 .message)
   - message_file = .message dirmessage_enable = yes 일 경우 적용되는 옵션
   - download_enable = yes 다운로드 허용여부
   - force_dot_files = no 점으로 시작되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되도록 설정
   - guest_enable = no   실제 계정에는 없는 가상계정으로 로그인 허용 (가상계정_패스워드 = /etc/vsftpd_login.db) guest_username과 연동된다.
   - guest_username = ftp guest_enable = yes 일 경우 사용
   - text_userdb_names = no  디렉토리및 파일 목록에서 사용자와 그룹의 ID가 숫자 대신에 텍스트 이름으로 보여지도록 설정 (보안상 활성화금지)
   - userlist_enable = no  userlist_file 명시된 계정들로만 로그인 허용
   - userlist_deny = /etc/vsftpd.user_list     userlist_enable 의 옵션과는 반대로 접속 거부할 계정 명시
   - userlist_file = /etc/vsftpd/user_list       userlist_enable = yes 일 경우 로그인 가능한 유저 목록을 명시
   - file_open_mode = 0666 파일 업로드시 퍼미션 지정
   - listen = no  standalone 동작 설정
   - listen_port = 21  
   - user_config_dir = /etc/vsftpd_user_conf    가상유저마다 각기 다른 vsftpd.conf 설정을 적용한다.
   - virtual_use_local_privs = no       가상사용자 권한설정
   - deny_file   업/다운로드를 금지할 파일형태를 지정한다. (예: deny_file={*.exe,*.pdf,*.mp3})
   - hide_file   숨김디렉토리/파일 지정한다. (예: hide_file={*.exe,*.conf,*.mpeg})
                                단, 파일 위치를 알고있다면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다.

3) 접속제어 설정 옵션

   - one_process_model = no 익명 접속자에게 하나의 프로세스가 작동되도록 한다.
   - max_clients = 100  vsftpd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클라이언트수 지정
   - max_per_ip = 0  호스트로 접속할 때 최대 접속수 지정 (0값은 무제한을 의미)
   - local_max_rate = 0  파일 전송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옵션
   - idle_session_timeout = 300 세션종료 설정 기본값 300초
   - ftpd_banner = Welcome to FTP server   
   - tcp_wrappers  /etc/allow 와 /etc/deny 파일에서 vsftpd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IP 지정
   - accept_timeout = 60        수동모드에서 서버에 접속할때까지의 시간 설정
 

4) 보안 관련 설정 옵션

   - chroot_local_user = no 로컬경로에 대한 chroot를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
   - chroot_list_enable = no 사용자가 로그인시 chroot를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
   - chroot_list_file = /etc/vsftpd/chroot-list     chroot를 적용할 사용자계정을 설정
   - chown_uploads = no  익명으로 업로드된 파일에 대해서 지정된 사용자의 소유권으로 설정
   - chown_username = root chown_uploads 에 대한 사용자 지정
   - nopriv_user = nobody 서버를 일반권한으로 작동
   - async_abor_enable = no 파일전송시 취소하였을 경우 취소되지 않는 경우 해결하는데 사용하지만 보안상  no로 설정한다.
   - ascii_download_enable/ ascii_upload_enable = no    파일전송을 ascii 모드로 작동할지 설정
   - ls_recurse_enable = no  ls -R 명령 사용여부 설정 (DoS공격의 취약성으로 사용에 주의한다.)
   - hide_ids = no  디렉토리 목록에서 uid와 gid를 보여주지 않고 모두 ftp로 표시하도록 한다.
   - chmod_enable = yes  실명 접속에서만 사용가능한 명령
   - pam_service_name = ftp PAM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때 인증파일을 지정하는 옵션
   - check_shell = yes  사용자 로그인시 /etc/shell 파일에서 체크할지 설정

참고] 
아스키모드 : html, htm, txt, cgi, pl, php, phtml, php3, sql, c, ph, py 등등 
바이너리모드 : gif, jpg, swf, png, exe, asf, wmv, zip, rar, gzip, tar.gz 등등

아스키모드는 파일을 열었을때 번역이 되지않은것(판독이 가능한것)
바이너리는 아스키모드와 반대로 번역이 된것    (소스판독 불가능)

html, htm, php 등등 일반적인 웹페이지 제작에 쓰이는 파일은 아스키모드, 바이너리 모드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cgi 와 같은 파일은 반드시 아스키모드를 사용해야 한다.

 

아스키란? (ASCII code) 
미국에서 제정된 데이터처리 및 통신시스템 상호간의 정보 교환용 7bit표준 코드 ASCⅡ라고도 하는데, 
이는 American Standard Codefor Information interchange(미국정보교환용표준코도)의 약칭이다. 
1963년 미국표준협회(ASA)에 의해 제정되어 미국의 정보교환용 표준코드가 되었다. 
지금 ASCⅡ코드는 미니컴퓨터·퍼스널컴퓨터 등 소형 컴퓨터를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 보급되어 있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1967년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정보처리용 및 정보교환용 부호의 통일을 위해 제정하여 권장하고 있다. 
ASCⅡ코드용 키보드도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것으로 96개의 대영문자·소영문자·숫자·특수문자
(연산자·등호·부등호·괄호·문장부호 등 영문자·숫자·간격문자 이외의 도형문자)와, 
32개의 제어문자(서식 변경, 전송 데이터 개시·종료 등의 제어에 이용되는 특수 기능 문자)를 
포함하는 ASCⅡ코드 128개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다. 
ASCⅡ코드는 7bit로 구성된 2진코드로 2128개의 서로 다른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데, 코드의 비트 번호는 오른쪽에서부터 부여한다. 
현재 ASCⅡ코드는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데이터통신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는 txt파일이다. cgi에서는 확장자가 cgi, pl등의 파일은 거의 모두가 아스키로 되어 있으며 전송시에 아스키(ASCII) 모드를 지정하여야 한다.

바이너리란? (BINARY code)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명령이 들어 있는 형태로 된 것을 말한다. 
컴퓨터가 직접 읽을 수 있는 것은 "0"과 "1"로된 코드이다. 
따라서 도스의 type 명령어나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는 이진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없다. 
이 파일은 컴파일이라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 지는데, 대표적인 예는 gif파일, jpg파일, 기타 컴파일된 실행파일 (XXX.dll XXX.exe 등)이 있다.


5) 데이터 연결 관련 설정

   - pasv_enable = yes        수동데이터 연결모드로 지원할지 설정
   - pasv_promiscuous = yes       수동보안체크 기능을 off한다.
   - pasv_max_port / pasv_min_port    수동모드 포트 50000 ~ 60000 포트지정 (기본값은 0)
   - ftp_data_port = 20
   - data_connection_timeout = 300
   - connect_from_port_20 = no  
   - port_enable = yes  
   - connect_timeout = 60


6) 로그 관련 설정 옵션

   - xferlog_enable = no  파일 송/수신 결과를 xferlog_file 옵션으로 지정된 파일에 기록한다. (/var/log/vsftpd.log)
   - xferlog_file = /var/log/vsftpd.log
   - xferlog_std_format = no 파일 송/수신 로그를 xferlog로 저장할것인지 설정
   - log_tp_protocol = no ftp 요청 및 응답에 관련된 메세지를 기록할것인지의 설정으로 오류분석에 유용하다.
   - syslog_enable = no  /var/log/vsftpd.log에 저장되지않고 /var/log/syslog에 저장되도록한다.
   - dual_log_enable = no /var/log/xferlog 파일과 /var/log/vsftpd.log 파일에 파일전송 기록이 저장된다.
   - vsftpd_log_file = /var/log/vsftpd.log    vsftpd 데몬에 의한 로그메세지를 기록할 파일명을 지정
 
------------------------------------------------------------------------------------------------------------------

1. /etc/vsftpd/ftpusers
   ftp서버에 로그인할 수 없는 사용자 목록을 담고 있는 파일이다. 소스설치시에는 생성되지 않는다.
   /etc/pam.d 디렉토리에 있는 vsftpd PAM 모듈에 의해서 이 파일에 작성된 사용자들의 로그인을 거부한다.

* /etc/vsftpd/ftpusers : 사용자는 비번을 맞게 입력하여도 거부함
* /etc/vsftpd/user_list : 사용자의 비번조차 묻지않고 거부함


2. /etc/pam.d/vsftpd
   
   #%PAM-1.0

session  optional pam_keyinit.so force revoke
auth  required pam_listfiel.so item=user sense=deny file=/etc/vsftpd/ftpusers onerr=succeed
auth  required pam_shells.so
auth  include  system-auth
auth  include  system-auth
auth  inclued  pam_loginuid.so


두번째 라인 설정값은 /etc/vsftpd/ftpusers 파일에 있는 계정들에 대해서는 로그인을 거부하는 설정이다.
로그인을 허가하려면 sense=deny 값을 sense=allow 값으로 변경해준다.


3. /etc/vsftpd/user_list
   vsftpd.conf 파일에서 userlist_deny 값이 no 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파일안에 있는 사용자들은 로그인을 허용한다.
   userlist_deny 값이 yes 로 설정되어 있으면 로그인을 거부한다.


4. /etc/xinetd.d/vsftpd
   vsftpd 데몬을 xinetd 데몬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disable = no 값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5. 익명 FTP Server
익명접속시 ftp 또는 anonymous의 기본경로는 /etc/passwd 파일에서 지정된 ftp 계정 경로로 결정된다.
대부분의 /etc/passwd에서의 ftp 계정은 /var/ftp 가 기본경로로 지정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기본 홈디렉토리 : /var/ftp

   데몬 활성       : /etc/init.d/xinetd restart

 


-------------------------------------------------------------------------------------------------------------------

[vsftpd.conf 실습]

효율적인 Anonymous FTP 서버 구성


기본 홈디렉토리 : /var/ftp/pub

   데몬 활성    : /usr/local/sbin/vsftpd & ( Standalone Type)

 

1. 홈디렉토리 생성

# mkdir /var/ftp/pub


2. vi /etc/vsftpd.conf 설정

-------------------------------- 익명 서버 설정 옵션 --------------------------------------------

anonymous_enalbe=YES   // 익명 접속 허용
local_enable=NO    // 로컬 사용자 접속 불허
write_enable=NO    // 보안을 위해서 쓰기 금지
anon_umask=077    // 익명 사용자의 파일생성 umask값 지정
anon_mkdir_write_enable=NO  // 디렉토리 생성금지
anon_upload_enable=NO   // 업로드 금지
anon_other_write_enable=NO  // 업로드 및 경로생성외 삭제, 이름변경 등 다른 쓰기 금지
anon_world_readable_only=YES  // ftp 계정 소유의 읽기 모드로 된 파일만 다운로드 가능

-------------------------------- 접속 제한 설정 -------------------------------------------------

max_clients=50    // 접속 최대 인원 설정
max_per_ip=2    // 한 호스트 2회 이상 접속 불허
one_process_mmodel=YES   // 1회 접속마다 하나씩 프로세스 작동
idle_sessionn_timeout=120  // 2분동안 FTP 명령이 없으면 접속 종료
data_connection_timeout=300  // 5분동안 데이터 전송이 없으면 접속 종료
connect_timeout=60   // 1분동안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접속 종료
anon_max_rate=100000   // 최대 전송률을 100kbyte로 제한
ftpd_banneer=Welcome to VSFTPD  //서버 접속시 보여줄 메시지 설정


-------------------------------- 보안 설정 -------------------------------------------------------

hide_ids=YES    // 다른 계정의 소유권을 ftp로 모두 가장한다.
no_anon_password=NO   // 익명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물어본다.
ls_recurse_enable=NO   // ls -R 명령 실행금지
connect_from_port_20=YES  // 데이터 연결을 20번 포트로 이용한다.
xferlog_file=/var/log/vsftpd.log // 파일 전송 로그 파일 명시
ascii_download_enable=NO  // 아스키형태로 다운로드 금지
async_abor_enable=NO   // async ABOR 명령 금지


-------------------------------- Standalone Mode 설정 ---------------------------------------------

listen=YES    // vsftpd 데몬을 독립모드로 띄운다.
listen_port=21    //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에 경청할 ftp 포트 명시


===================================================================================================


3. Standalone Mode로 활성화

# /usr/local/sbin/vsftpd &

 

4. 접속 테스트를 위해 /var/ftp/pub 디렉토리에 test 파일을 생성해놓는다.

# cp /etc/issue  /var/ftp/pub
# chmod 644 /var/ftp/pub/issue
# echo"Anonymous Testing" > test


5.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여 vsftpd 서버에 anonymous계정으로 접속해본다.
   파일 다운로드와 업로드를 확인한다.


* /var/ftp/pub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파일구조를 살펴보면 issue파일의 소유권이 
root가 아닌 ftp로 변경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

1. /etc/passwd 파일에 등록된 계정으로 실명 접속하기

 

-------------------------------- 실명 서버 설정 옵션 --------------------------------------------

anonymous_enalbe=NO   // 익명 접속 금지
local_enable=YES   // 로컬 사용자 접속 허용
write_enable=YES   // 보안을 위해서 쓰기 허용
local_umask=022    // 로컬 사용자의 파일생성 umask값 지정


-------------------------------- 접속 제한 설정 -------------------------------------------------

max_clients=50    // 접속 최대 인원 설정
max_per_ip=2    // 한 호스트 2회 이상 접속 불허
one_process_mmodel=NO   // 사용 안 함
idle_sessionn_timeout=120  // 2분동안 FTP 명령이 없으면 접속 종료
data_connection_timeout=300  // 5분동안 데이터 전송이 없으면 접속 종료
connect_timeout=60   // 1분동안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접속 종료
anon_max_rate=0     // 최대 전송률을 제한없음
ftpd_banneer=Welcome to VSFTPD  //서버 접속시 보여줄 메시지 설정


-------------------------------- 보안 설정 -------------------------------------------------------

chroot_local_user=YES   // 로컬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chroot 적용
hide_ids=NO    // 다른 계정의 소유권을 ftp로 모두 가장하지 않는다.
ls_recurse_enable=NO   // ls -R 명령 실행금지
connect_from_port_20=YES  // 데이터 연결을 20번 포트로 이용한다.
xferlog_enable=YES   // 파일전송 로그를 기록함
xferlog_file=/var/log/vsftpd.log // 파일 전송 로그 파일 명시
ascii_download_enable=NO   // 아스키형태로 다운로드 금지
async_abor_enable=NO   // async ABOR 명령 금지


-------------------------------- Standalone Mode 설정 ---------------------------------------------

listen=YES    // vsftpd 데몬을 독립모드로 띄운다.
listen_port=21    //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에 경청할 ftp 포트 명시
pam_service_name=vsftpd   // PAM 인증 모듈 파일 명시

===================================================================================================

 

2. /etc/pam.d/vsftpd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생성해 주어야 한다.

#%PAM-1.0
session optional pam_keyinit.so force  revoke
auth required pam_listfile.so item=user sense=deny file=/etc/vsftpd/ftpusers onerr=succeed
auth required pam_shells.so
auth include  system-auth
account include  system-auth
account include  system-auth
session include  system-auth
session include  pam_lobinuid.so

 


3. Standalone Mode로 실행한다.

# /usr/local/sbin/vsftpd &

 

4. TEST

# telnet localhost 21

user: ftpuser
pass: ftpuser


==============================================================================================

[ 실명과 익명 동시 로그인 설정]


-------------------------------- 실명/익명 동시 접속 설정 옵션 --------------------------------------------

anonymous_enalbe=YES   // 익명 접속 허용
local_enable=YES   // 로컬 사용자 접속 불허
write_enable=YES   // 보안을 위해서 쓰기 금지
local_umask=022
anon_umask=077    // 익명 사용자의 파일생성 umask값 지정
anon_mkdir_write_enable=YES  // 디렉토리 생성금지
anon_upload_enable=NO   // 업로드 금지
anon_other_write_enable=NO  // 업로드 및 경로생성외 삭제, 이름변경 등 다른 쓰기 금지
anon_world_readable_only=YES  // ftp 계정 소유의 읽기 모드로 된 파일만 다운로드 가능

-------------------------------- 접속 제한 설정 -------------------------------------------------

max_clients=50    // 접속 최대 인원 설정
max_per_ip=2    // 한 호스트 2회 이상 접속 불허
one_process_mmodel=NO   // 1회 접속마다 하나씩 프로세스 작동
idle_sessionn_timeout=120  // 2분동안 FTP 명령이 없으면 접속 종료
data_connection_timeout=300  // 5분동안 데이터 전송이 없으면 접속 종료
connect_timeout=60   // 1분동안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접속 종료
local_max_rate=0   // 최대 전송률을 100kbyte로 제한   
ftpd_banneer=Welcome to VSFTPD  //서버 접속시 보여줄 메시지 설정


-------------------------------- 보안 설정 -------------------------------------------------------

chroot_local_user=YES   //로컬사용자의 홈디렉토에 chroot 적용.
hide_ids=NO    // 다른 계정의 소유권을 ftp로 모두 가장한다.
ls_recurse_enable=NO   // ls -R 명령 실행금지
connect_from_port_20=YES  // 데이터 연결을 20번 포트로 이용한다.
xferlog_enable=YES   // 파일전송 로그를 로그 파일에 기록한다.
xferlog_file=/var/log/vsftpd.log // 파일 전송 로그 파일 명시
ascii_download_enable=NO  // 아스키형태로 다운로드 금지
async_abor_enable=NO   // async ABOR 명령 금지


-------------------------------- Standalone Mode 설정 ---------------------------------------------

listen=YES    // vsftpd 데몬을 독립모드로 띄운다.
listen_port=21    //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에 경청할 ftp 포트 명시
pam_service_name=vsftpd   // PAM 인증 모듈 파일 명시

===================================================================================================

[출처] CentOS. FTP 총정리.|작성자 Kei


반응형

'Linux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Apache(아파치) 구조  (0) 2020.09.04
CentOS, FTP 설치해보기  (0) 2017.01.10
스트리밍 서버구축(DSS 사용)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DDS 설치)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RED5)  (0) 2015.12.28
반응형

webtob에서도 패스워드 자동입력 설정이 가능합니다.!

아래 내용을 http.m에 PassPhraseDialog 추가하여 패스워드 자동입력을 설정 할 수 있으며,
또한 openssl을 이용하여 키 패스워드를 삭제하여 사용도 가능하십니다!

1. 자동화

[http.m]
########## SSL절의 설정의 예
ssl_def                 CertificateFIle=”/data2/wbqam/webtob/ssl/newcert.pem”,
                        CertificateFile=”/data2/wbqam/webtob/ssl/newcert.pem”,
                        PassPhraseDialog=”exec:/data2/wbqam/webtob/ssl/pass.sh”
저장 후 아래의 작업을 진행 합니다.
vi /data2/wbqam/webtob/ssl/pass.sh  [생성]
[pass.sh]
#!/bin/sh
echo 패스워드
저장 후
[퍼미션 변경]
chmod a+x /data2/wbqam/webtob/ssl/pass.sh
또는..
chmod 700 /data2/wbqam/webtob/ssl/pass.sh
http.m 컴파일 후 서비스 재시작

2. 키 패스워드 삭제

openssl rsa -in [개인키] -out [내보낼파일]
암호 입력
내보낸 파일을 http.m에 설정 합니다.


참고 : http://olducert.korsec.co.kr/helpdesk/qna_view.html?seq=875&level=1


웹서버를 운영하면서 https 보안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증기관에서 SSL 인증서를 발급받는다. 발급받은 개인키에 비밀번호가 걸려있을 경우에는 아파치 웹서버를 실행할 때마다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받게된다.

... waiting .Apache/2.2.14 mod_ssl/2.2.14 (Pass Phrase Dialog)
Some of your private key files are encrypted for security reasons.
In order to read them you have to provide the pass phrases.

Server www.test.local:443 (RSA)
Enter pass phrase: [비밀번호 입력]

OK: Pass Phrase Dialog successful.
[ OK ]
root@www:/#

메시지만 나오는 것이라면 별 상관없겠지만, 개인키에 걸려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서버 시작을 진행하는 것이 문제이다.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관리 목적에서 자동으로 서버를 재시작해야할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때마다 수동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해주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개인키에 걸린 비밀번호를 제거해줘야할 필요가 생긴다.

개인키에 걸린 비밀번호는 다음과 같이 제거할 수 있다.

root@www:/etc/apache2/ssl/ssl.key# openssl rsa -in key.pem.orig -out key.pem
Enter pass phrase for key.pem.orig: [비밀번호 입력]
writing RSA key
root@www:/etc/apache2/ssl/ssl.key# [완료]

위의 예에서는 "key.pem.orig"라는 파일이 비밀번호가 걸려있는 원래 개인키 파일이다. 이렇게 실행한 후에, "key.pem"이라는 새로 만들어진 개인키 파일을 사용하면 비밀번호를 물어보는 귀찮은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보안키의 비밀번호가 사라진만큼 보안키 저장에 신경써야하지만, 보안키 저장 장소는 비밀번호가 있건 없건 접근 권한등 보안에 신경쓰자.



참고 : http://dev.meye.net/entry/SSL-%EC%9D%B8%EC%A6%9D%EC%84%9C-%EA%B0%9C%EC%9D%B8%ED%82%A4-%EB%B9%84%EB%B0%80%EB%B2%88%ED%98%B8-%EC%97%86%EC%95%A0%EA%B8%B0

반응형
반응형


1. 최초 기본설정

>>> Setup Assistant MP3 Broadcast Password
darwin_step2
 * MP3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받기 위해 비밀번호가 필요하다.
>>> Setup Assistant Secure Administration
darwin_step3
* 관리서버와 웹클라이언트간 통신시 암호화 사용여부이다. 스트리밍 서버에 SSL 인증서가 설치되어 있어야만 가능하다.
* SSL 보안을 사용하려면 체크한다.
>>> Setup Assistant Media Folder
darwin_step4
* 미디어 파일이 저장될 폴더를 지정한다.
>>> Setup Assistant Streaming on Port 80
darwin_step5
* 80포트로 스트리밍을 하게 되면 방화벽이 있더라도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2. 샘플영상 재생

playlist__
* 플레이어의 URL열기를 클릭하고 "http://{IP}/{파일명}"(80포트) 또는 "rtsp://{IP}/{파일명}"(기본포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세번째 그림과 같이 재생된다.

3. 기타설정

>>> 기타 기능에 관해서는 도움말을 제공하고 있다.
darwin_help
* 별도 문서
-- Darwin Streaming Server 메뉴얼 : [AboutDarwinStreamingServer.pdf]
-- 관리자 페이지 메뉴얼 : [QuickTimeStreamingSrvrAdminGuide.pdf]

>>> 시스템 구성

* OS : Linux CentOS 7.0
>>> 설치과정
# 사용자 및 그룹추가
groupadd qtss
groupadd qtss
adduser qtss -g qtss
 
# 폴더이동
cd /usr/local/src
 
# 설치파일 다운로드
wget http://server.opendocs.co.kr/DarwinStreamingSrvr6.0.3-Source.tar
wget http://server.opendocs.co.kr/dss-6.0.3.patch
wget http://server.opendocs.co.kr/dss-hh-20080728-1.patch
 
# 압축해제 & 패치실행
tar xvf DarwinStreamingSrvr6.0.3-Source.tar
patch -p0 < dss-6.0.3.patch
patch -p0 < dss-hh-20080728-1.patch
 
# 빌드
cd DarwinStreamingSrvr6.0.3-Source
./buildtarball
 
# 설치
cd DarwinStreamingSrvr-Linux
./Install
 
# 관리자 아이디 비밀번호입력
Please enter a new administrator user name: {아이디 입력}
Please enter a new administrator Password: {비밀번호 입력}
Re-enter the new administrator password: {비밀번호 확인}
 
# 외부접속시 포트허용
firewall-cmd --zone=public --permanent --add-port=554/tcp
firewall-cmd --zone=public --permanent --add-port=1220/tcp
firewall-cmd --reload
 
# 서버 시작시 자동실행
cd /etc/init.d
wget http://server.opendocs.co.kr/dssd
chmod 755 dssd
chkconfig dssd on
service dssd restart


>>> 접속확인
darwin_step1
* 설치시 입력하였던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하면 로그인 가능하다.
* 설정값에 대해서는 다음번에 포스팅하도록 하자.


반응형

'Linux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FTP 설치해보기  (0) 2017.01.10
CentOS, FTP 정리  (0) 2017.01.10
스트리밍 서버구축(DDS 설치)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RED5)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실패작)  (0) 2015.12.28
반응형

gcc에러

http://jsgreatnom.tistory.com/entry/CentOS-Darwin-Streaming-Server-Install%EB%8B%A4%EC%9C%88-%EC%8A%A4%ED%8A%B8%EB%A6%AC%EB%B0%8D-%EC%84%A4%EC%B9%98




DarwinStreamingServer(이하 DDS)는 APPLE의 공개 소스 중 하나로 윈도우즈와

매킨토시 양쪽을 모두 지원하고 공개 소스이므로 누구든지 무료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QuickTime Movie , MPEG4) , MP3등의 디지털미디어를 웹상에서

재생하고 실시간 MP3 음악방송이 가능합니다. Linux, Solaris, Windows NT/2000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합니다.  

# 1. 소스 다운로드 

소스는 아래 주소에서 다운 받습니다. 무료라고는 하지만 회원가입을 해 주어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http://developer.apple.com/darwin/projects/streaming/ 


# 2. 설치 
# wget 
http://www.opensource.apple.com/projects/streaming/release/DarwinStreamingSrvr5.5-Linux.tar.gz
# cp DarwinStreamingSrvr5.5-Linux.tar.gz /usr/local/  
# cd /usr/local/ 
# tar xvzf DarwinStreamingSrvr5.5-Linux.tar.gz 
# cd DarwinStreamingSrvr5.5-Linux 
# ./Install 
---------------------------------------------------------------------------------------
Installing Darwin Streaming Server 

Checking for and Killing currently running Darwin Streaming Server 
Removing previous versions of Darwin Streaming Server 
Backing up previous config files 
Inserting path to perl into scripts.. 
Creating unprivileged user to run the server = "qtss". 
copying DarwinStreamingServer to /usr/local/sbin/DarwinStreamingServer 
copying PlaylistBroadcaster to /usr/local/bin/PlaylistBroadcaster
copying MP3Broadcaster to /usr/local/bin/MP3Broadcaster 
copying qtpasswd to /usr/local/bin/qtpasswd 
creating /usr/local/sbin/StreamingServerModules directory 
copying createuserstreamingdir to /usr/local/bin/createuserstreamingdir 
creating /etc/streaming directory 
Generating a new prefs file at /etc/streaming/streamingserver.xml 
INFO: Module Loaded...QTSSHomeDirectoryModule [dynamic] 
INFO: Module Loaded...QTSSRefMovieModule [dynamic] 
INFO: Module Loaded...QTSSFileModule [static] 
INFO: Module Loaded...QTSSReflectorModule [static] 
INFO: Module Loaded...QTSSRelayModule [static] 
INFO: Module Loaded...QTSSAccessLogModule [static] 
INFO: Module Loaded...QTSSFlowControlModule [static]
INFO: Module Loaded...QTSSPosixFileSysModule [static] 
INFO: Module Loaded...QTSSAdminModule [static] 
INFO: Module Loaded...QTSSMP3StreamingModule [static] 
INFO: Module Loaded...QTSSAccessModule [static] 
WARNING: No users file found at /etc/streaming/qtusers. 
WARNING: No groups file found at /etc/streaming/qtgroups. 
Streaming Server done starting up 
copying relayconfig.xml-Sample to /etc/streaming/relayconfig.xml-Sample 
copying qtusers to /etc/streaming/qtusers 
copying qtgroups to /etc/streaming/qtgroups 
copying readme.txt to /var/streaming/readme.txt 
copying 3rdPartyAcknowledgements.rtf to /var/streaming/3rdPartyAcknowledgements.rtf
creating /usr/local/movies directory 
creating /var/streaming/playlists directory 
copying sample_100kbit.mov into /usr/local/movies/sample_100kbit.mov 
copying sample_300kbit.mov into /usr/local/movies/sample_300kbit.mov 
copying sample_100kbit.mp4 into /usr/local/movies/sample_100kbit.mp4 
copying sample_300kbit.mp4 into /usr/local/movies/sample_300kbit.mp4 
copying sample.mp3 into /usr/local/movies/sample.mp3 
copying StreamingLoadTool to /usr/local/bin/StreamingLoadTool 
copying streamingloadtool.conf to /etc/streaming/streamingloadtool.conf 
copying streamingadminserver.pl into /usr/local/sbin/streamingadminserver.pl 
copying Admin HTML to /var/streaming/AdminHtml directory 
Launching streamingadminserver.pl 
Installation Complete 
-------------------------------------------------------------------------------------------

Darwin Streaming Server Setup 

In order to administer the Darwin Streaming Server you must create an administrator user 
[Note: The administrator user name cannot contain spaces, or single or double quote characters, 
and cannot be more than 255 characters long]. 
Please enter a new administrator user name: chok2 
You must also enter a password for the administrator user 
[Note: The administrator password cannot contain spaces, or quotes, either single or double, 
and cannot be more than 80 characters long]. 
Please enter a new administrator Password: 
Re-enter the new administrator password: 
Adding userName chok2 
Setup Complete! 
------------------------------------------------------------------------------------------- 

의외로 설치는 간단하고 빨리 끝나 버립니다. 


# 3. 서버설정 

웹브라우져를 띄워서 http://IP_Address:1220 를 입력합니다. 
1220 포트는 DSS(Darwin Streming Server)의 관리자 페이지 접속을 위한 포트입니다.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지정한 Admin 계정과 패스워드를 넣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MP3 Broadcast를 위한 패스워드 설정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설정하는 패스워드는 MP3 방송을 할 때 
ShoutCast로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패스워드입니다. 설정을 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다음으로 Secure Administration 설정이 나옵니다. 설정하고 넘어갑니다. 
Media Folder 설정이 나옵니다. 디폴트는 /usr/local/movies입니다. 
이 폴더 안에는 DDS의 샘플용 미디어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media 계정을 생성하고, 계정의 홈 디렉토리를 이용하면 나중에 관리하기 
용이합니다. 설정을 하였으면 넘어갑니다. 끝으로 Streaming on Port 80 설정이 나옵니다. 설정하고 
완료합니다. 여기까지를 모두 마치면, DSS(Darwin Streming Server) 관리자 페이지가 보일 것이고, 
서버상태를 요약한 메인 화면이 보일 것입니다. 


# 4. DDS 구동하기 

DDS를 처음 설치하면 자동으로 서버와 서버관리 프로그램이 구동되지만 이후로는 수동으로 구동시켜 
주어야 합니다.  
# cd /usr/local/DarwinStreamingSrvr5.5-Linux 
DDS 구동 
# ./DarwinStreamingServer 
DDS 관리서버 구동 
# ./streamingadminserver.pl 
DDS와 DDS관리서버의 종료 방법은 아직 모르겠습니다. 
제 경우는 어차피 서버에서 돌아가는 거니까 그냥 놔둡니다.  


# 5. 실시간으로 MP3 방송하기 
MP3 실시간 방송은 Icecast 서버에서 방송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먼저 SHOUTcast Source 프로그램을 구동합니다. 
서버주소(www.your_Server.com)를 입력하고 포트번호는 8000을 입력, 페스워드는 서버설정 시 입력했던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Admin 패스워드가 아닙니다. MP3 Broadcast 패스워드입니다. 
DDS 서버에 접속이 끝나고 나면 Winamp를 통해 MP3 파일을 재생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방송을 들으실 때는 윈앰프 주소입력창에 
http://www.your_server.com:8000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 6 동영상 클라이언트 MPEG4IP 설치(
http://mpeg4ip.net)
#> wget 
http://nchc.dl.sourceforge.net/sourceforge/mpeg4ip/mpeg4ip-1.4.1.tar.gz
#> ./bootstrap --disable-mp4live
#> make
#> make install
#> gmp4player
#> mp4live


참고 :https://www.linux.co.kr/superuserboard/view.html?id=11862&code=linux&start=4080&position=






=============================================================================


DSS 설치 환경은 CeontOS 5.6의 환경에서 진행 하였다.

cd /usr/local

wget http://dss.macosforge.org/downloads/DarwinStreamingSrvr6.0.3-Source.tar
tar xvf DarwinStreamingSrvr6.0.3-Source.tar
wget http://www.abrahamsson.com/dss-6.0.3.patch
patch -p0 < dss-6.0.3.patch
cd DarwinStreamingSrvr6.0.3-Source
./buildtarball
cd DarwinStreamingSrvr-Linux
./Install
Installing Darwin Streaming Server
Checking for and Killing currently running Darwin Streaming Server
…(생략)…
characters long
Enter DSS Administrator Username : (Admin Username 입력)
DSS Administrator Password cannot contain spaces, or quotes, either single or double, and cannot be more than 80
characters long
Enter DSS Administrator Password: (패스워드 입력)
Re-enter DSS Administrator Password: (패스 워드 확인)
Adding userName admin
Setup Complete!이렇게 진행되었으면 설치는 완료 되것이다.

netstat -nlp

해보면 아래와 같은 포트가 열려진것을 확인해볼수 있을것이다.

tcp        0      0 0.0.0.0:8000                0.0.0.0:*                   LISTEN      4273/DarwinStreamin
tcp        0      0 0.0.0.0:8001                0.0.0.0:*                   LISTEN      4273/DarwinStreamin
tcp        0      0 0.0.0.0:1220                0.0.0.0:*                   LISTEN      4316/perl

tcp        0      0 0.0.0.0:554                 0.0.0.0:*                   LISTEN      4273/DarwinStreamin
tcp        0      0 0.0.0.0:7070                0.0.0.0:*                   LISTEN      4273/DarwinStreamin
……

기본영상이 올라가는 기본경로는

/usr/local/movies

이니 적당한 폴더를 생성하여 사용하는것이 좋을것이다.

http://Server주소:1220 으로 접속해 보면 관리 화면으로 접속해 볼수 있을것 이다.

처음 접속하면 새로운 패스워드를 접해주면 되고

80포트 사용이라든지 디렉토리 경로 설정이라든지 SSL 사용 설정을 하게 되고

관리 페이지로 들어가게 될것이다.

여기서 여러가지 설정값을 사용할수 있고

Play list 메뉴에서 영상을 추가해주면된다.

그리고 virtualhosts에서 해당 디렉토리(예 /usr/local/movies)를 설정하여 하여 http와 rtsp가 같은 곳을 바로보게 한다면

소스를 iphone 접속과 android 접속을 구분해 준다면 같은 파일을 가지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할수 있다.



반응형

'Linux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FTP 정리  (0) 2017.01.10
스트리밍 서버구축(DSS 사용)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RED5)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실패작)  (0) 2015.12.28
VOD 스트리밍서버 구축하기 - 2  (0) 2015.12.02
반응형

### RED5를 이용한 Video Streaming 환경 구축

추천 : http://mindpower.kr/48

http://itscom.org/archives/913

http://blog.naver.com/lsy1065/110182369199

http://nalnari.tistory.com/211

https://www.youtube.com/watch?v=fIL3GnAfKkI&list=PLC0DE8A73C4A6F1E8

http://www.wasakuni.net/bbs/board.php?bo_table=linux&wr_id=95



아래는 추천한 URL을 기반으로 설치하였다.

tar파일을 실행해보니 파일이 없어서 아래는 신규 tar 로 변경된 url이다.

[root@b local]# wget https://github.com/Red5/red5-server/releases/download/v1.0.6-RELEASE/red5-server-1.0.6-RELEASE-server.tar.gz

[root@b local]# tar xvzf red5-server-1.0.6-RELEASE-server.tar.gz

[root@b local]# mv red5-server-1.0.6-RELEASE red5

[root@b local]# cd red5/conf/

[root@b conf]# vi red5.properties                    (host ip 를 수정합니다.)

 또는 find 명령으로 한번에 수정

[root@b conf]# find . -name red5.properties -exec vi "-c" "%s/host=0.0.0.0/host=192.168.146.130/g" "-c" "wq" {} \;


반응형
반응형

#스트리밍 서버 구축


## 설명


###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Progressive Download)

동영상 파일이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전달될 때 파일 일부가 도착하는대로 먼저 재생하는 방법.

장점은 전체 파일이 모두 도착하기 전에 재생을 시작함으로 사용자입장에서는 서버로부터의 반응이 매우 빠른 것처럼 보임.


흔히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은 몇kb 정도의 작은 용량의 문서이다. HTML을 전송하는 서버를 웹 서버라고 한다.보통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수십 kb에서 몇 백 kb까지 비교적 용량이 큰 용량의 파일이다.(동영상 전체를 한번에 다 보내주는 것이 아니고, 조금씩 나눠서 보낸다)  기존에 일반적인 웹 서버는 이러한 대용량의 파일 전송을 목적으로 만들어지지 않기에,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가 따로 필요했다. 그래서 미디어 서버는 동영상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스트리밍 서버의 종류(http://myblog.opendocs.co.kr/archives/tag/red5)

>>> 유료서비스
* Windows Media Server(Microsoft)
-- 지원포맷 : WMV, ASF 등
-- 지원코덱 : Windows Media
-- 지원OS : Windows
-- 프로토콜 : MMS, MSBD, RTSP, HTTP
* Flash Media Server(Adobe)
-- 지원코덱 : H.264, MPEG 등
-- 지원OS : Windows, Linux
-- 프로토콜 : HTTP, RTMP
* Wowza Streaming Server(Wowza) - http://www.wowza.com/
-- 지원코덱 : H.264
-- 지원OS : Windows, Linux, Mac
-- 프로토콜 : HTTP, RTMP/RTSP
* Silverlight Smooth Streaming(Microsoft)
-- 지원코덱 : H.264, VC-1
-- 지원OS : Windows
-- 프로토콜 : HTTP
-- adaptive Streaming 방식
>>> 무료서비스
* Darwin Streaming Server(Apple) - http://dss.macosforge.org/
-- 지원코덱 : H.264
-- 지원OS : Windows, Linux, Mac, Solaris 등
-- 프로토콜 : HTTP, RTSP
* red5(Open Source Project) - http://code.google.com/p/red5/
-- 지원코덱 : H.264
-- 지원OS : Windows, Linux
-- 프로토콜 : RTMP


###미디어 서버의 종류

WMS (Windows Media Server)

WOWZA Streaming Server

Adobe FMS(Flash Media Server)

IIS

Darwin Server

red5

Helix Server


###WMS (Windows Media Server)

Microsoft (MS)에서 개발한 WMS는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를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통해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 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Windows Media Player 등의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재생하는 다른 컴퓨터 또는 장치일 수도 있고, 콘텐츠를 프록시, 캐시 또는 재배포하는 Windows Media 서비스를 실행하는 다른 컴퓨터(Windows Media Server) 일 수도 있다.


WMV 라는 확장자가 ASF 를 대체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서 동영상으로는 WMV, ASF 


MMS (Microsoft Media Server)

– 마이크로소프트 네트워크 스트리밍 프로토콜

– Windows Media Service 의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MMS 프로토콜은 지원되지 않으며, 프로토콜 롤오버를 통해서 서비스 가능


MMS 프로토콜은 Windows 미디어9 시리즈가 출시되면서부터 Windows Server 2003에는 사용되지 않고, 윈도우 XP 및 그 이전 버전의 Windows Media 플레이어에만 사용되고 있다. Windows Media Service 2008은 MMS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다. 다양한 스트리밍 플레이어 지원을 위해서는 MMS URL 모니커(mms://)를 스트리밍 컨텐츠의 연결 URL안에 넣어서 사용해야 한다 (예: mms://Server_Name/File_Name.wma). MMS URL 모니커를 통해 모든 연결 플레이어는 가장 적절한 스트리밍 프로토콜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프로토콜 롤오버를 사용하게 된다.


미디어9 시리즈 서버는 기본적으로 윈도우 2003 서버에 탑재되어 있다. 미디어9 서버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한다면 우선 미디어 파일을 열때, 파일을 찾아 버퍼링 하는 단계의 속도를 개선하였고,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하는 동안 남아있는 여분의 네트워크 사용량을 가지고 캐싱함으로써 미디어 파일을 뒤로 움직일 때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모바일이나 위성방송기기에서 끊어진 스트림을 복구할 때 빠르게 할 수 있는 FEC(Forword Error Correction) 기능이 있다. 또한, 시간 설정이 된 컨텐츠를 끊어졌다가 다시 복구될 때 더 빠르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어, 새 미디어9 서버는 빠른 전송과 복구가 강조된 서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Windows Server 2008 R2 가 나오면서 MS는 WMS의 개발을 중단한다. WMS의 보안과 버그 문제로 인한 유지는 되겠지만, 더 이상의 개발은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MS가 WMS를 버린 이유라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 등장 때문일 것이다. mms:// 로 시작하는 WMS 는 모바일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다른 브라우저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MS의 대체 기술로 모바일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한 IIS 미디어 서비스 Smooth Streaming 이 있다.


WMS 지원범위

지원포맷 : WMV, ASF 등

지원코덱 : Windows Media

지원 OS : Windows

프로토콜 : MMS, MSBD, RTSP, HTTP


### WOWZA Streaming Server(유료)

와우자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 시스템즈(MediaSystem Inc)에서 개발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 소프트웨어이다.

라이브와 온-디맨드 방식의 비디오 스트림과 녹음 그리고 오디오와 비디오를 활용한 채팅 등으로 다양한 미디어 분야에서 많은 수상을 한 미디어 서버이다. Java로 개발되었기에 Linux, Mac OS X, Unix, Windows 에서 이용이 가능하며, HTTP Live Streming (HLS)와 RTMP/RTSP 등 최근 각광받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와우자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는 서비스 제공업체와 미디어 관련 업체, 회사 및 기타 조직이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 및 IPTV나 OTT 등 여러 기종과 어떠한 디지털 스크린에도 IP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MP4를 비롯한 WMV, FLV 등 다양한 포맷 동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하고 H.264를 포함한 고화질 파일과 모바일 단말향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VOD서비스와 라이브방송이 가능하며, CCTV 를 사용한 스트리밍과 녹화중계 및 채팅서버로로 활용할 수 있다. RTM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dobe Flash Player와 통신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서버 간의 원격 프로시저 호출도 지원한다.


실시간 및 주문형 Video Stewams를 위한 자막을 지원한다. Stream과 File기반 Sources로 부터 자막 Date를 받아들일 수 있으며 Apple HTTP Live Streaming (HLS), Adobe HTTP Dynamic Streaming(HDS), RTMP protocols 를 사용하는 실시간과 주문형 Video Streaming 을 위한 Caption Format 로 변환할 수 있다.


2. Transcoder AddOn

Wowza Transcoder AddOn 은 비디오와 오디오를 Decode하는 Live Stream의 기능을 제공하며 원하는 Playback 장치를 Re-Encode하여 Stream 한다. 또한 Transcoder Overlays가 Wowza Transcoder AddOn 을 위한 새로운 Module 은 Javs 기반 API를 사용함으로써 정적 및 동적 이미지를 Overlay 할 수 있다.

이 기능은 광고, Titling, Watermarking, 로고나 심볼, 스포츠나 주식 시세 표시 같은 곳에 활용이 가능하다.


3. Content 보호

Wowza DRM AddOn 은 실시간 주문형 Video Workflows 를 위한 Add-on-the-fly 암호화를 추가하는 third party Digital Rights Managrment (DRM), Key Management System (KMS) 와 함께 제공된다. Medio 보안으로 무료 AddOn 인 MediaSecurity 는 Wowza Media Server 3.5 에 포함되어 있다. SecureToken과 같은 MediaSecurity 기능, REMP 인증, RTSP 인증, StreamNameAlias는 Apple HTTP Live Streaming (HLS), Adobe HTTP Dynamic Streaming (HDS), Microsoft Smooth Streaming 을 사용하는 콘텐츠를 제공할때 더 안전한 Stream을 보장한다.


4. RTMP Security

새로운 Wowza StreamLock AddOn 은 암호화를 요구하는 대부분의 Wowza Media Server Stream 에 사용되지만 256Bit SSL 인증을 제공함으로써 더 쉽게 RTMPS Streams를 스트리밍 한다.


WOWZA Streaming Engine 4.0

Wowza 스트리밍 엔진은 기본 Wowza 미디어 서버에서 발전한 서버 소프트웨어로 더욱 더 쉽고 실용적으로 비디오 스트리밍 서버를 설정하고, 스트리밍 작업과 함께 CPU, 메모리 및 디스크 사용량과 같은 실시간 서버 통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Wowza 지원범위

지원포맷 : MP4, FLV 등

지원코덱 : H.264

지원단말 : Android, IOS, Windows

프로토콜 : HTTP Live Streaming (HLS), RTMP/RTSP


### Adobe FMS

Adobe FMS(Flash Media Server) 는 Flash를 만든 어도비 시스템즈 (Adobe Systems) 사에서 개발한 플래시 기반의 미디어 서버이다. 쉽게 말해서 플래시 비디오인 FLV 파일들을 스트리밍 해주는 서버를 말한다. Flash Player 를 통해 VOD, Live Video, 음악, 블로그 영상, 영상 메시지, 멀티미디어 채팅, 다중 사용자 게임 등의 환경을 제공하는 실시간 미디어 서버로 대표적으로는 유튜브가 사용하는 스트리밍 서버이다.


유튜브에서 동영상을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다양한 부가기능과 광고, 그림 등의 삽입이 가능하고, 가장 큰 장점은 이미 대부분의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설치된 Flash Player 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송이나 파일 재생 시에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프로그램이 없다는 점이다.


FMS 특징

– 표준 프로토콜 및 코덱 지원 (H.264, MPEG 등)

– 미디어 콘텐츠 Live 및 VOD 서비스

– HTTP Dynamic Streaming

– DVR (Digital Video Recoder) 기능

– 보안 프로토콜 및 SWF 인증을 통한 콘텐츠 보안

– 미디어 전송 암호화 지원 (FLV / FLV)


FMS 지원범위

지원포맷 : FLV, F4V 등

지원코덱 : VP6, H.264

지원 OS : Windows, Linux (Partial)

프로토콜 : HTTP, RTMP (Real Time Messaging Protocol)


### IIS

IIS (Smooth Streaming) 는 Microsoft (MS)에서 개발한 HTTP 기반 어댑티브(Adaptive) 스트리밍의 한 종류이다.

윈도우에서 미디어를 온라인 상으로 전달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우선은 실시간 방송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바로 서비스 할 수 있는 스트리밍 방식(WMS)과 다른 하나는 웹 서버로부터 파일을 다운 받아서 재생을 하는 방식인 다운로드 방식이다.

다운로드 방식은 IIS 웹 서버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할 수가 있다. 과거에는 다운로드 방식이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받고 나서야 재생을 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다운로드 받으면서도 부분 재생이 가능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Progressive Download) 방식이 사용되면서, 웹 서버를 이용한 다운로드 방식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운로드 방식은 부가적인 스트리밍 서버가 필요하지 않고, 일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웹 서버에서도 쉽게 서비스가 가능하다.


Bit Rate Throttling (Windows Server 2008)

스트리밍은 동영상/미디어 유출 등을 보호할 수 있고,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 많이 사용되었고,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는 웹 서버에 동영상 파일을 그냥 위치시켜 놓으면 특별한 노력 없이 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했기에 많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스트리밍 방식은 캐싱이 되지 않는 다는 단점이 있었고,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는 대역폭의 낭비가 한계였다. 예를들면, 1시간 짜리 동영상을 10분 보고 중단하는 경우에도 1시간에 해당하는 용량을 모두 한 번에 다운 받기 때문에 재생한 이후 분량은 사용되지 않은 채로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미디어 서비스를 하는 회사 입장에서는 자원이 낭비되는 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IS7에서는 비트 레이트 스로틀링 (Bit Rate Throttling) 기능을 통해 서비스 버퍼링을 없애 20초, 10초 등의 설정한 데이터만 더 다운 받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기능은 IIS7 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이므로 사용자가 어떤 플레이어를 사용하는지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 프로그레시브 다운 : 사용자가 보지 않는 부분까지 전체 다운로드 한다.

– 비트 레이드 스로클링 : 설정한 일정 부분 이상 미리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


Smooth Streaming (Windows Server 2008)

Smooth Streaming을 사용하면 서버에서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 해서 필요에 따라 높은 화질과 낮은 화질로 번갈아 가면서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이 같은 변경이 재생중에 자연스럽게 이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끊김없이 미디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네트워크와 PC 상황에 맞도록 300K, 700K, 2.4M 등의 가변적인 파일 공급을 통해 사용자는 느끼지 못하는 동안 최고의 품질을 경험하게 하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할 때 그 파일의 일부를 보내주는데 중간에 Edge Server를 두고 그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파일을 전송한다. 이 조각난 파일들은 Cache로 남아 있게 되고, 다른 사용자의 요구에 실제 Origin서버까지 가지 않고 Edge Server에서 전송받는 형태이다. 즉, 스트리밍의 단점인 캐싱을 가능하게 해주고, 프로그레시브의 단점인 대역폭 낭비를 막아주는 것이다. Smooth Streaming이라는 기술은 IIS7 웹 서버의 다운로드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기존 스트리밍이 가지고 있는 장점까지 흡수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img src="http://blog.kollus.com/wp-content/uploads/2014/02/Smooth-Streaming-%EB%B0%A9%EC%8B%9D-300x224.png">

Smooth Streaming 방식

*Smooth Streaming 방식 ( 출처 : http://www.cooolguy.net/164 )


IIS 지원범위

지원포맷 : MP4(ISMV)

지원코덱 : H.264, VC-1

지원 OS : Windows

프로토콜 : HTTP, Smooth Streaming (Silverlight)


### Darwin Server

Apple 에서 Darwin Streaming Server (DSS) 라는 이름으로 개발한 QuickTime Streaming Server 의 오픈 소스 버전이다. QuickTime Streaming Server 와 같은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Darwin Streaming Server 는 초기에는 Mac OS X 플랫폼에서만 작동하였으나 v2.0.1까지 나온 현재는 FreeBSD, Linux, Solaris, Windows NT4/2000 Server 등 다양한 플랫폼에 서 선택/운영이 가능하다.


– 애플의 소스 공개 정책에 따라 윈도우즈와 매킨토시 양쪽을 모두 지원

– 소스까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든지 무료로 설치 가능

– 동영상, MP3 등의 디지털 미디어를 실시간으로 배포하고 라이브 이벤트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Linux, Solaris, Windows NT/2000 등 가장 대중적인 엔터프라이즈급 플랫폼을 지원


Darwin 지원범위

모바일쪽에서 사용됨(안드로이드는 http포맷으로 전송이 되지 않고, rtmp로 전송해야된다.)

지원포맷 : MOV 등

지원코덱 : H.264

지원 OS : Windows, Linux, Solaris 등

프로토콜 : RTSP, HTTP

*Open Source


http://comett.tistory.com/2


http://iwithjoy.tistory.com/entry/CentoOS-DSSDarwin-Streaming-Server



###red5


레드5 미디어 서버 1.0은 강력한 비디오 스트리밍과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및 기타 흥미로운 클라이언트 기술에 다중 사용자 솔루션을 제공한다. 오픈 소스 레드5 미디어 서버를 사용하면 화상 회의, 다중 사용자 게임 및 엔터프라이즈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이 가능하다.


– Flash Player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하는 Open Source Flash Server

– Java 로 작성된 오픈 소스 서버


red5 지원범위

지원포맷 : FLV, F4V, 3GP 등

지원코덱 : H.264

지원 OS : Windows, Linux 등

프로토콜 : HTTP, RTSP

*Open Source


### Helix Server

리얼네트웍스(RealNetworks) 에서 개발한 헬릭스 서버는 멀티 포맷을 지원하는 유/무선 장치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구현 가능한 서버이다.


– 리얼 네트웍스가 개발하고 RealServer의 후계 기종

– 전송 매체 종류 Real Media (.ra, .rm, .ram), Windows Media, Quick Time (.mov, .qt)


Helix Server 종류

상용 : Helix Server(Universal Server (www.realnetworks.com)

오픈소스 : Helix DNA Server (www.helixcommunity.org)


Helix Server 와 Helix DNA Server 비교

<img src="http://blog.kollus.com/wp-content/uploads/2014/02/Helix-Server-%EC%99%80-Helix-DNA-Server-%EB%B9%84%EA%B5%90--300x51.jpg">


* On-demand(주문형 게시 지점)

– 사용자의 요청으로 컨텐츠 제공이 시작된다. 서버에서 스트림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컨텐츠가 제공되고, 시작, 중지, 되감기, 앞으로 감기, 일시중지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 SLTA서비스 (오픈소스는 미지원)

– The Simulated Live Transfer agent : Simulated live broadcasting 을 위한 유틸리티.

– On-demand 의 약점을 보완하여 각각의 동영상 클립을 live broadcast 방송과 같이 스트리밍 할 수 있다.


Helix Server 지원범위

지원포맷 : FLV, F4V 등

지원코덱 : H.264

지원 OS : Windows, Linux , FreeBSD , Solaris 등

프로토콜 : RTSP, HTTP Live Streaming (HLS)


온라인비디오플랫폼(OVP)로 미디어서버 고민 한번에 해결하기


“어떤 미디어 서버를 선택해야 하는것인가??”

“미디어 서버 구축은 어떻게 해야 하는것 인가??”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를 위해 내 서비스에 환경에서 어떤 미디어 서버가 가장 적합한지에 대한 고민은 물론 물리적 서버 구축에 대한 고민이 함께생긴다.


온라인비디오플래폼(OVP) Kollus 는 이런 미디어서버 고민에 대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Kollus(콜러스)는 Web 상에서 비디오 원본 파일만 업로드 하면 N-Screen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식으로 자동 인코딩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웹 상에서 통합 솔루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보니 구축이 전혀 필요없다.

즉,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고민은 필요가 없다는 말씀!


그럼 과금은 어떻게????


Kollus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구축없이 Web 상에서 비디오 원본 파일만 업로드 하면 N-Screen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식으로 자동 인코딩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와 함께 동영상 보안, 광고삽입, SNS 연동, 분석 및 통계 기능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동시에 지원된다. (동영상 보안, 광고 삽입, 분석 및 통계 등 부가 기능은 다음에 설명해 드릴께요^^)


하지만 과금은 Traffic양과 Storage비용만 종량제로 과금 되기 때문에 쫌 합리적??!!

(이제 머리속에서 미디어 서버 구매? 렌탈? 고민은 지워버리시길)



* * *



## 서버 구축


<설치 가능환경>


|버전|가능한 서버|

|--------|--------|

|window2000, XP, 2003, 2008, 7, Vista|Wowza Media Server , RED5, FMS|

|Redhat Linux Enterprise 5| Wowza Media Server, RED5, FMS|

|Ubuntu 9.1,| Wowza Media Server, RED5. FMS|

|Ubuntu 9.1|Wowza Media Server, RED5. FMS|

|Ubuntu 10.04 LTS|Wowza Media Server, RED5. FMS|

|**Cent OS 5.4**|**Wowza Media Server, RED5 , FMS**|

|SU Linux  2.0 GUI|Wowza Media Server, RED5, FMS|

|SU Linux  2.0 TUI|Wowza Media Server, RED5, FMS|

|Fedora  core 13|Wowza Media Server, RED5, FMS|

|Debian  5.0.4|Wowza Media Server , RED5, FMS|

|open SUSE Linux  11|Wowza Media Server , RED5|

|SUSE Linux Enterprise 11|Wowza Media Server , RED5|

|Mandriva 2010 PowerPack|Wowza Media Server, RED5|

|SlackWare 13.0|Wowza Media Server, RED5|

|PClinux OS 2010.1|Wowza Media Server, RED5|


<스트리밍 가능한 파일>

M4V,  F4V, MOV, FLV, MP4, MP3


###VLS

리눅스 기반 스트리밍을 구현해 주는 솔루션중 가장 강력한 오픈소스 솔루션.

GNU/Public 공중 라이센스하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어떤 사용자든 자유롭게 사용할수 있으며 무엇보다 리눅스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의 한계였던 Windows 미디어 포멧 방식의 (ASF, WMV, AVI등등) 미디어들을 아파치 웹서버 상에서 간단하게 스트리밍을 구현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간단한 설명 ]


배포 및 개발사이트 - http://www.videolan.org

VLC - 리눅스 기반 미디어 플레이어

VLS - 리눅스 기반 스트리밍 서버

VLS 다운로드 - http://download.videolan.org/pub/videolan/vls/0.5.6/

VLS 의존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 http://download.videolan.org/pub/videolan/vls/0.5.6/contrib/

VLS 사용자 매뉴얼(영문) - http://www.videolan.org/doc/vls-user-guide/en/vls-user-guide-en.html


참조 : http://www.soulfree.net/468


### 리눅스기반 VOD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 구축

http://blog.syszone.co.kr/2719?category=18


### 간단한 VLC 설정 및 스트림방법

http://sola99.tistory.com/137


===========================================================================================

중간  정리

VLC, VLS는 오직 스트리밍을 위한 서비스로 서버에서 파일을 선택하고 스트리밍을 시작하면, 클라이언트에서는 그 IP에 접속하여 (파일선택없이) 스트리밍을 받는 서비스로 내가 찾는 VOD서비스랑은 위미가 멀다. 또 프로그래시브를 지원하지 않고, 라디오와 같은 방식으로 서버에서 Play하면 볼 수 있고, 정지하면 정지가 되는 방식이다.

===========================================================================================


### RED5를 이용한 Video Streaming 환경 구축

추천 : http://mindpower.kr/48

http://itscom.org/archives/913

http://blog.naver.com/lsy1065/110182369199

http://nalnari.tistory.com/211

https://www.youtube.com/watch?v=fIL3GnAfKkI&list=PLC0DE8A73C4A6F1E8

http://www.wasakuni.net/bbs/board.php?bo_table=linux&wr_id=95


반응형

'Linux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리밍 서버구축(DDS 설치)  (0) 2015.12.28
스트리밍 서버구축(RED5)  (0) 2015.12.28
VOD 스트리밍서버 구축하기 - 2  (0) 2015.12.02
VOD 스트리밍서버 구축하기 - 1  (0) 2015.12.02
TELNET 설정  (0) 2015.11.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