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 NIC : Network Interface Card, 보통 랜카드라고 부름.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활


B. 허브 : HUB, 허브를 간단히 말하자면, 멀티포트(Multiport, 포트가 여러개인) 리피터(Repeater, 들어온 데이터를 그래도 재전송).

               요약하자면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뿌려준다는 의미

               

C. 허브에 붙어 있는 모든 것들은 같은 콜리젠 도메인 안에 있다.


D. 허브의 종류

   1. 인텔리전트(Intelligent) 허브 : 지능형 허브로, NMS(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통해서 관리가 된다. NMS를 통해 제어 및 분석이 가능.

    콜리전이 발생된 PC가 있다면, 문제의 PC가 연결된 포트를 찾아내서 자동으로 Isolation(고립)시켜 버립니다.

    Auto Partition : 분리된 포트는 허브에서 램프로 표시되기 때문에 바로 어떤 PC인지 알게되어 조치가 가능.

   2. 더미(Dummy) 허브 : 일단 더미인데 인텔리전트 허브와 연결되면 자기도 인텔리전트 허브가 된다.

   3. 스태커블(Stackable) 허브 : 스택이 가능한 허브, 즉 쌓을 수 있는 허브


E. 브리지(Bridge) & 스위치(Switch)란? :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 스위치의 모든 기능은 브리지에서 출발하였과,

   브리지보다 빠른 스위치가 나왓고, 브리지는 그 자리를 스위치에게 물려주고 사라져가는 추세


F. 허브는 일차선 도로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하지만 스위치는 포트 수별로 차선이 만들어 진다.


G. 브리지 : 허브로 만들어진 콜리젠 도메인 사이를 반으로 나누고 중간에 다리를 놓는 것.


H. 브리지 & 스위치 기능

1. Learning, 배운다

2. Flooding, 모르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다른 모든 포트로 뿌린다.

3. Forwarding, 해당 포트로 건네준다.

4. Filtering, 다른 포트로는 못 건너가게 막는다.

5. Aging, 나이를 먹는다.(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가 5분 이후에는 지운다)


I.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

1. 스위치는 하드웨어, 브리지는 소프트웨어로 처리방식이 다르다. 스위치가 더 빠름

2. 브리지는 포트들이 같속도를 지원하는 반면, 스위치는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 줄 수 있다.

3. 스위치는 브리지에 비해 제공하는 포트 수가 훨씬 많다.

4. 스위치는 cut-through 또는 store-and-forward 방식이 사용,

  브리지는 store-and-forward방식만 사용 


J. I의 처리방식 설명

1. 스토어-앤-포워드 방식 : 스위치와 브리지 둘 다 처리하는 방식으로, 프레임 전부를 받아들인 다음 처리를 시작하는 방식으로..

프레임을 모두 받아들이고나서 이 프레임이 제대로 다 들어왔는지, 에러는 없는지, 또 출발지 주소는 어디인지, 목적지 주소는 어딘지 파악해 처리를 하는 방식

2. 컷-스루 방식 : 스위치에서만 처리하는 방식으로 들어오는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만을 본 다음 바로 전송처리를 시작하는 방식..

프레임의 처음 48비트만을 보게된다. 처리를 빨리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에러를 찾아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에러 복구 능력에서는 약점을 자기고 있다.

3. 프래그먼트-프리(Fragment-Free) 방식 : 1번과 2번의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전체 프레임이 다 들어올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측면에서는 컷 스루 방식을

닮았지만 컷스루처럼 처음 48비트만을 보는 것이

part4_네트워크 장비들에 관한 이야기.txt

아니라 처음 512비트를 보게됩니다. 따라서 에러 감지 능력이 컷스루에 비해서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K. 루핑(Looping) 현상 : 브리지나 스위치에서 자주 발생되는 현상으로, 프레임이 네트워크 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돌기 때문에 이더넷의 특성상

네트워크가 조용해야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는 다른 녀석들이 계속 네트워크가 조용해지기를 기다리기만 할 뿐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해지는 상태


L.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 Spanning Tree Algorithm, 자동으로 루핑을 검색해서 루핑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리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루핑을 미리 막기 위해 두 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하면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로들을 자동으로 막아두었다가

막약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풀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알고리즘.


M. 라우팅 : Layer 3계층에 존재하며, 스위치가 보장 못하는 보안기능, 패킷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트래픽이 전송되는 것을 막습니다.

로드 분배기능이 있어, 여러 경로중 경로를 선택 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 트래픽의 전송 순서를 조정해주는 QoS(Quality of Service) 기능도 제공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part3_TCP-IP와의 만남.txt


ㅁ 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al/Internet Protocol),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프로토콜


ㅁ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공인되지 않은 IP주소를 사용하고, 인터넷으로 나갈 때만 공인 주소(즉 유일한 IP주소)를 가지고 나가는 방식

   PAT : 동일한 IP주소를 가지고 여러 명이 인터넷에 접속하면서 포트 넘버만을 바꾸는 기능

   NIC : 유일한 IP주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공인된 IP주소를 관리하고 나눠줘야 하는데 전 세계에 이런 공인 주소를 나눠주고 관리하는 기관


ㅁ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PC마다 하나하나 IP주소를 미리 지정해 놓지 않고 DHCP서버가 그 네트워크에 필요한 IP주소를 전부 가지고 있다가

   IP주소를 요구하는 PC에는 그때그때 자동으로 분배해주는 방식

반응형
반응형


part2_네트워크와 케이블 그리고 친구들.txt


ㅁ LAN : Local Area Network, 한정된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WAN : Wide Area Network, 멀리 떨어진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ㅁ 이더넷 : 우리나라의 거의 대부분이 사용, CSMA/CD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함


ㅁ CSMA/CD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캐리어를 감지했다가 없을때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방법

             캐리어 감시 다중 접속 / 충돌 감지

             

ㅁ 토큰링 : 토큰을 가진 순서에 따라 통신작업을 한다.


ㅁ MAC : Media Access Control, 통신을 위해 서로를 구분할 일종의 주소

IP 주소가 있어도, 통신에서 MAC Address 가 사용됨


ㅁ 네트워크에서 통신방식

1. 유니캐스트 : Unicast, 1:1통신

2. 브로드캐스트 : 로컬 랜 상에 붙어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보내는 통신

3. 멀티캐스트 : 보내고자 하는 그룹 멤버들에게만 한번에 보내는 통신


ㅁ OSI 7 Layer(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

7. Application Layer  (어플리케이션 계층)

6.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계층)

5. Session Layer      (세션 계층)

4.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3.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것(라우팅)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주는 것

2.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피지컬 레이어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통신에서의 오류도 찾아주고, 재전송도 하는 기능을 가지고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통신 할 수 있게 해준다.

브리지, 스위치

1. Physical Layer     (피지컬 계층)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나눈 이유 : 1. 데이터의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 2. 문제를 해결하기가 편리하다.

3. 각 층별로 표준화를 함으로 여러 회사 장비를 써도 네트워크가 이상없이 동작한다.


ㅁ 프로토콜 : 컴퓨터끼리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서로간의 통신 규약 또는 통신 방식에 대한 약속으로 프로토콜이 같은 것끼리만 대화 즉 통신이 가능하다



반응형
반응형


part1_네트워크 세상에 들어서며.txt

ㅁ 네트워크 : 장비들을 서로 대화가 가능하도록 묶어주는 것


ㅁ 인터넷 :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묶어주는 것, 하나의 프로토콜만을 사용 (TCP/IP)


ㅁ 인트라넷 : 사내 네트워크


ㅁ 엑스트라넷 : 사내 네트워크를 고객이나 협력사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반응형

+ Recent posts